연세대 총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는 4일 ‘연세대 총여학생회 폐지’ 여부를 놓고 학생총투표를 진행 중이다.
서울권 대학 중 유일하게 남은 연세대학교 총여학생회(총여)마저 사라질까. 4일 밤 존폐 여부가 판가름 날 예정인 가운데 총여 대신 들어설 성폭력담당위원회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사라지는 대학 총여학생회…대학생들에게 이유 물어보니)
연세대 총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4일 오후 6시 현재 ‘연세대학교 총여학생회 폐지 및 총여 관련 규정 파기, 후속기구 신설의 안' 학생총투표 참여율이 53.56%를 기록했다”며 “오늘 저녁 9시께 총여 존폐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비대위는 지난 2일부터 온라인 전자투표 방식으로 총여의 존폐를 결정하는 학생총투표를 실시했으며, 총투표율이 50%는 넘기지 않을 경우 최대 3일간 투표일이 연장될 예정이었다.
연대 총여의 운명이 투표에 맡겨지게 된 건 지난해 5월24일 총여가 작가 은하선씨의 교내 강연인 ‘대학 내 인권활동 그리고 백래시’를 주관하면서다. 당시 일부 학생들은 기독교 학교인 연세대학교에서 은하선씨의 강연을 여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반대했고, 급기야 강연 이튿날 25일에는 ‘총여학생회 퇴진 및 재개편 추진단’이라는 학내 단체가 꾸려졌다. 이 추진단은 현행 총여를 학생인권위원회로 재개편한다는 것을 뼈대로 서명운동을 벌였고, 총학생회 회원의 10% 이상의 동의를 받아 지난해 6월 학생총투표를 실시했다. 당시 ‘총여 재개편’이 가결됐는데, 이번에는 총여의 완전한 삭제를 요구하는 학생총투표가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비대위의 세부안을 보면 모든 회칙에서 총여학생회는 삭제되고 성폭력담당위원회가 신설된다. 총투표가 가결될 경우 1988년 출범 이후 31년간 명맥을 이어온 연세대 총여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총여가 사라지면 성폭력담당위원회가 꾸려진다. 총학생회장단 산하에 꾸려질 위원회는 연세대에서 일어나는 성폭력 사건을 다룬다. 투표과정에서 안건으로 공개된 성폭력담당위원회 역할은 △교내 성폭력 사안에 대해 학생사회의 의견을 모으고 △성폭력 사건과 관련해 공식적인 절차와 무죄추정의 원칙에 입각해 정보를 수집 △학내 성폭력 관련 기록을 수집하고 보존 △신고인과 피신고인에 대한 행정절차 지원 △성폭력 사건 피해학생 지원 △개별사건의 종결 후 학교에 가해자 징계 촉구 등 여섯 가지다.
성폭력담당위원회의 역할이 공개되자 일부 학생들 사이에선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이민선 연세대 총여학생 회장은 “성폭력 사건에 대해 학내사회에서 의견을 수렴하다보면, 피해자 신상정보는 가려지더라도 사건 자체가 드러나게 된다”며 “사건이 (학내에) 공개 됐을 때, 피해자가 느끼는 아픔을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고 밝혔다.
무죄추정의 원칙에 입각한 정보수집 원칙이 자칫 피해자 보호 소홀로 작동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신경아 한림대 교수(사회학과)는 “일반적 폭력사항과 달리 성폭력의 경우에는 친고죄가 폐지된 것도 얼마되지 않았다”며 “무죄 추정원칙에서는 성폭력 피해자들이 크던 작던 스토킹이나 언어적 성희롱과 같은 일들을 말하기 어려워진다”고 밝혔다. 이에 박요한 연세대 비대위원장은 “기구의 세부적인 것은 추후 가결이 된 뒤 논의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이정규 기자
J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