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근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장(왼쪽 첫째)이 11일 아침 8시 서울대 행정관 앞에서 시설직 노동자 파업 지지 손팻말을 들고 오세정 신임총장을 기다리고 있다. 박성호씨 제공
“도서관을 파업 대상 시설에서 제외해줄 것을 요청하겠다”고 밝혔다가 서울대 시설관리직 노동자들의 처지를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받았던 서울대학교 총학생회가 밤샘 회의를 열어, 파업 중인 민주노총 서울일반노동조합과 연대하기로 입장을 바꿨다.
서울대 총학생회는 11일 아침 8시 성명서를 내어 “총학생회는 노조와 대학본부 간의 신속한 협상 타결을 이끌어내 쟁의의 장기화를 막고 학생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노조와 연대하기로 결정했다”며 “총학생회는 대학본부에 학생들의 학습권 보장과 난방 설비 정상화를 위해 노조와의 협상에 성실히 응하고, 협상의 전향적 타결을 통한 본질적이고 구조적인 문제 해결이 신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앞서 서울대 총학은 전날 저녁 7시부터 정기 총학생회 운영위원회를 열고 이날 새벽 3시30분까지 밤샘 회의를 한 뒤 이같이 결정했다.
서울대 시설관리직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는 “(총학은) 향후 공대위 활동에 함께하며 총학생회의 의견을 내고 대학본부의 적극적인 태도 변화를 요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총학생회는 시설관리직 노동자의 파업 기간 동안 학생들의 권리 보호를 이유로 도서관에 핫팩을 배부하고, 방한용품을 마련하며, 전열기 설치 등 활동을 병행할 예정이다.
총학생회와 공대위는 이날 아침 8시 서울대 행정관 앞에서 오세정 총장을 기다리며 손팻말 시위도 함께했다. 이들은 “학생들도 파업투쟁 지지한다. 신임총장이 해결하라!” “신임총장이 책임지고 시설노동자에게 생활임금 보장하라” “신임총장이 책임지고 차별 없는 노동조건 보장하라!”는 손팻말을 들었다.
서울대에서 기계, 전기 등 설비를 관리하는 시설관리직 노동자 120여명은 지난 7일부터 서울대 행정관과 중앙도서관, 공학관 기계실을 점거하며 파업을 선언했다. 이들은 △단체교섭에 성실하게 임할 것 △중소기업 제조업 시중노임 단가 100% 적용 △복지 부분을 서울대학교 구성원 간 취업규칙에 맞게 차별 없이 적용할 것 등을 요구했다.
서울대 총학생회는 8일 오전 페이스북에 ‘일반노조 기계전기분회 파업 및 도서관 난방 중단 관련 공지’라는 글을 올려 “총학생회장단은 노조의 정당한 파업권을 존중한다”면서도 “다만 도서관과 같이 학생들의 학업과 연구에 직결되는 시설에서 발생하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 이를 위해 총학생회장단은 일반노조에 도서관을 파업 대상 시설에서 제외해줄 것을 다시 한번 요청하겠다”고 밝혔다가 “정중한 말씨이지만 결국 노동자들의 파업권을 침해하는 내용”(하종강 성공회대 노동아카데미 주임교수) 등과 같은 비판을 받았다.
이정규 기자
j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