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들 저임금·고용불안에 이직 잦아
인력·예산 탓 ‘2인1조’ 방문 지켜지지 않아 ‘안전 사각지대’
정신장애인들 “상담사 잦은 교체에 센터 이용 외면하게 돼”
인력·예산 탓 ‘2인1조’ 방문 지켜지지 않아 ‘안전 사각지대’
정신장애인들 “상담사 잦은 교체에 센터 이용 외면하게 돼”
서울 은평구 응암동 서울특별시 은평병원 ‘24시간 정신건강의학과 진료실’에서 지난달 24일 오후 한 입원환자가 의사와 면담을 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정신건강전문요원 전원 떠난 은평구 이런 상황에서 정신건강전문요원들은 중증정신질환자들을 방문 상담하는 과정에서 안전을 위협받는 사건을 드물지 않게 겪고 있다. 자살 시도 연락을 받고 응급 출동했다가 대상자가 집안에 있던 칼로 상담자를 위협한 일도 있었고, 전체 인력의 80%를 차지하는 여성 정신건강전문요원들의 경우 성희롱·성추행을 겪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이러한 위험 때문에 ‘2인1조’로 방문상담 하는 것이 권고되지만, 현장에선 예산과 인력 문제로 이런 권고가 지켜지지 않고 있다. 안전에 대한 매뉴얼이나 교육 역시 전무한 실정이다. 이는 자연스레 정신건강전문요원들의 인력 이탈로 이어진다. 지난해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윤기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서울시 행정사무감사에서 발표한 ‘서울시 25개 자치구 정신건강복지센터 처우’ 자료를 보면, 2018년 11월 기준 서울시 25개 지역정신건강복지센터 가운데 12곳이 민간위탁, 13곳이 보건소 직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곳에서 서울시 예산으로 급여를 받는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정원은 모두 312명으로 2016년 31%(97명), 2017년 32%(100명), 2018년 18%(57명)가 근무하던 정신건강복지센터를 떠났다. 은평구의 경우 2017년 정원 13명을 뛰어넘는 15명이 이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사이 센터에서 일하는 정신건강전문요원 전원이 바뀌었다는 얘기다. 이에 따른 피해는 결국 정신 장애인의 몫으로 돌아간다. 이정하 ‘정신장애와 인권 파도손’ 대표는 “사례 관리를 담당하는 정신건강전문요원이 자주 바뀌면서 상담자에게 매번 똑같은 이야기를 해야 하는 것은 물론 ‘라포’(상담이나 교육을 위한 전제로 신뢰와 친근감으로 이루어진 인간관계) 형성이 어려워 정신 장애인들이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외면하게 되는 일이 많다”며 “정신 장애인들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 구축을 위해 정신건강전문요원들의 처우가 개선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선담은 기자 s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