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애 국가인권위원장이 지난 1월22일 오후 서울 중구 인권위 인권교육센터에서 스포츠 분야 폭력·성폭력 완전한 근절을 위한 특별조사단 구성 계획을 밝히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 ‘스포츠 인권 특별조사단(특조단)’ 출범 한 달째인 25일 인권위는 체육계 인권 침해 관련 진정이 지난 한 해보다 4배 이상 많이 접수됐다고 밝혔다. 체육계 폭력·성폭력 사건을 뿌리뽑기 위해 출범한 특조단은 대표전화·카카오톡·텔레그램 등을 통해 체육계 인권침해 신고를 받고 있다.
특조단에 접수된 진정 유형은 폭력·성폭력·욕설 등 다양했다. 25일 특조단이 공개한 진정 유형은 △선수단 또는 학교장의 폭력·성폭력 행위 방치로 인한 피해 △폭력행위 전력 지도자의 재임용 △지도자의 과도한 훈련 요구로 인한 부상 △폭력 행사 지도자에 대한 문제 제기 후 대회 출전 불이익 △문제제기에 대한 연맹의 부적절한 대응 등이다. 특조단은 피해자 유형 또한 대학·직장인 운동부 등의 성인뿐 아니라 어린이·청소년 선수 등으로 폭넓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아울러 접수된 사건은 모두 특조단에서 현재 조사 중이라고 덧붙였다.
진정 접수 경로는 대표전화(1331)를 통한 접수가 가장 많았다. 특조단은 대표전화(1331)·카카오톡(검색창에 ‘스포츠인권’ 검색)·텔레그램(ID: hrsports)·이메일(
sports@nhrc.go.kr) 등을 통해 진정 접수를 받고 있다. 특조단 관계자는 “이중에서 대표전화를 통한 신고 접수가 가장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며 “특히 선수들의 학부모가 전화를 통해 진정을 접수하는 경우가 많고, 어린 학생들의 경우 카카오톡을 통해 직접 피해 사실을 알리기도 한다”고 말했다.
특조단은 유관기관으로 신고 접수된 내용에 대해서도 조사에 나설 예정이다. 특조단은 문화체육관광부·교육부·대한체육회 등 유관기관과의 협조를 통해 스포츠계에서 발생한 폭력·성폭력 등 인권침해 사안을 모두 특별조사단에서 조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스포츠계 폭력?성폭력 문제를 신고하는 창구가 다양해 오히려 피해자의 혼란을 야기하는 문제가 발생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특조단 관계자는 “이미 관계부처 공무원들이 특조단으로 파견해 협업하고 있다”며 “특히 문체부 스포츠혁신위원회와 업무가 겹치지 않도록 서로 업무에 대해 공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조단은 피해자 구제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특조단은 피해자에게 전문적인 심리 회복과 법률 상담을 지원하고, 특히 성폭력 피해자에 대해서는 여성가족부와 협의하여 여성가족피해지원 서비스도 지원받을 수 있도록 연계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조단 관계자는 “한 건의 진정은 열 건의 유사 피해가 존재함을 의미한다”며 “더 많은 피해자들이 조사단을 신뢰하고 찾을 수 있도록 홍보와 지원 체계를 확충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인권위는 지난달 25일 서울 중구 인권위 청사 10층에서 ‘스포츠 인권 특별조사단’ 출범식을 열고 스포츠 분야 인권침해 피해 신고 활성화와 권리 구제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밝혔다.
오연서 기자
lovelett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