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조사결과에서, 중·고등학생 10명 중 1명이 수학 과목에서 기초학력 미달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28일 기초학력 지원 내실화 방안을 내놨다. 사진은 한 수험생이 수능 시험을 보기 전 공부하는 모습이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중·고생 10명 중 1명이 수학 과목에서 기초학력 미달로 조사됐다. 28일 교육부가 발표한 ‘2018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보면, 중학생의 11.1%, 고등학생의 10.4%가 수학 과목에서 기본적인 교육과정조차 따라가지 못했다. 국어·영어 등 다른 과목에서도 중고생의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전년에 비해 늘었다.
교육부는 2008년부터 2016년까지 기초학력 미달 전수조사를 해오다 학교 서열화 등 부작용이 나타나자 2017년부터 표집으로 조사방식을 바꿨다. 표집 방식은 결과가 들쭉날쭉했다. 이를 두고 “대책이 필요하다” “표집 방식과 전수 방식을 단순 비교해서는 안 된다”는 등 논란이 벌어졌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향후 ‘학업성취도 평가 방식’에 대한 개선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이날 모든 학교에 적용되는 ‘기초학력 지원 내실화 방안’을 내놨다. 우선 ‘기초학력 보장법’을 제정하고,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학생들이 의무적으로 기초학력 진단을 받는 내용이다. 미달 학생에 대한 맞춤 지원도 제공한다. 다만 시·도 간, 학교 간 서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진단 도구를 확일화하지 않고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선택한다.
이밖에 교대·사범대에서 학습부진 학생을 이해하고 지도하는 방법을 가르치고,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보충학습 지도를 위해 예비교원·퇴직교원·교원자격증 소지자들을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기초학력 실태 분석,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보급 등을 담당하는 ‘국가 기초학력지원센터’, 시·도 교육청의 ‘기초학력지원센터’도 만든다.
양선아 기자
anmada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