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급식실 조리 노동자들이 서울대병원과 같은 공공기관 식당 조리 노동자보다 2배 높은 노동강도에 시달리는 것으로 드러났다.
13일 여영국 정의당 의원이 분석한 자료를 보면, 초등학교의 경우 조리 노동자 10명이 전국 평균 1358~1538명분의 음식을, 중학교의 경우에는 1223~1387명분의 음식을 만들고 있다. 조리 노동자 1명당 약 130~150명 수준이다. 이는 서울대병원(2018년 기준) 등 주요 공공기관 12곳에서 조리 노동자 1명당 65.9명분의 음식을 만드는 것과 비교하면 약 2배 수준이다.
배치기준도 시·도별로 편차가 컸다. 초등학교 조리 노동자 10명을 기준으로 보면 대전이 2100명으로 식수 인원 상한이 가장 높았고, 서울은 1860명, 전남과 부산이 1800명 수준이었다. 이에 비해 세종, 강원, 충남은 1250명, 제주는 1170명으로 식수 인원 상한이 가장 낮았다. 중학교의 경우 조리 노동자 10명을 기준으로 대전과 전남이 1800명, 서울이 1639명으로 식수 인원 상한이 가장 높고 충남과 세종이 1160명, 제주가 1015명으로 가장 낮았다.
여 의원은 “학교 급식실 산재 발생의 주요 원인은 열악한 배치기준 때문인데 적정한 노동강도에 대한 전국적인 동일기준도 없다”며 “학교 급식 조리 노동자들의 적정한 배치기준에 대해 학교급별, 식수 인원별 전국 공통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9일 여 의원이 공개한 자료를 보면, 전국 초·중·고등학교 급식실에서 2015~2018년 4년간 모두 2365건의 산재가 발생했다. 연도별로는 2015년 475건, 2016년 546년, 2017년 618건, 2018년 726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유진 기자
yj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