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1월17일, 천장 곳곳이 무너져 내린 포항역사. 임재우 기자
검찰이 경북 포항에서 지진이 발생한 지 2년 만에 포항 인근에서 지열발전을 했던 관련 기관들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이들이 지열발전으로 지진이 유발될 수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사업을 강행했는지 확인할 방침이다.
서울중앙지검 과학기술범죄수사부(부장 김윤희)는 5일 한국지질자원 연구원, 사업주관사 넥스지오, 포항지열발전 등 4곳을 압수수색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다수의 국민이 피해를 본 사안으로 객관적 자료를 확보해 사실관계를 정확히 규명할 필요가 있다”며 “올 3월 발표된 조사 결과에 대한 검증이 최근에 끝나 압수수색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포항 지진은 지난 2017년 11월15일 오후 2시29분31초에 포항시 북구 북쪽 8㎞ 지점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으로, 1명이 숨지고 117명이 다쳤다. 정부는 포항 지진이 인근에서 진행된 지열 발전 실증연구가 원인일 수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자, 국내외 전문가들로 구성된 포항지진정부조사연구단(조사단)을 꾸려 원인분석 작업을 진행했다.
포항 인근에서 진행된 ‘메가와트급 지열발전 사용화 기술개발사업’은 2010년부터 정부예산 195억원과 민간자본 278억원이 투입된 민·관 합동 연구개발 사업이다.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사업을 전담했고 넥스지오를 주관 기업으로 지질자원연구원, 포스코 등이 참여했다. 포항지열발전은 넥스지오의 자회사다.
조사단은 지난해 3월부터 올 3월까지 1년에 가까운 원인분석 결과 “포항지진은 포항지열발전 시추와 물 주입으로 자극을 받아 촉발된 지진”이라고 밝혔다. 이에 포항지진 피해자들로 구성된 ‘포항지진 범시민대책본부’는 지난 3월29일 산업통상자원부 전 장관, 넥스지오 대표, 포항지열발전 대표 등을 형사 고소했다.
임재우 기자
abbad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