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술년 개띠해를 앞두고 경북 경산의 한국삽살개보존협회에서 기르고 있는 삽살개 ‘청룡’이 금호강 둔치를 힘차게 달리고 있다. 진돗개, 풍산개 등과 더불어 한국의 3대 명견으로 꼽히는 삽살개(천연기념물 제368호)는 예로부터 액운을 막아주는 영물로 믿어져 왔다. 가난한 민중들과 어우러져 살아온 삽살개는 일제가 전쟁물자로 가죽을 징발하면서 멸종 위기에 이른 적도 있다. 현재는 보존협회의 노력으로 개체 수가 1천여 마리로 늘어난 상태다. 경산/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병술년 개띠해를 앞두고 경북 경산의 한국삽살개보존협회에서 기르고 있는 삽살개 ‘청룡’이 금호강 둔치를 힘차게 달리고 있다. 진돗개, 풍산개 등과 더불어 한국의 3대 명견으로 꼽히는 삽살개(천연기념물 제368호)는 예로부터 액운을 막아주는 영물로 믿어져 왔다. 가난한 민중들과 어우러져 살아온 삽살개는 일제가 전쟁물자로 가죽을 징발하면서 멸종 위기에 이른 적도 있다. 현재는 보존협회의 노력으로 개체 수가 1천여 마리로 늘어난 상태다. 경산/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