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북구 옛 광주교도소에서 20일 검경, 군 유해발굴단, 의문사조사위원회 등으로 이뤄진 합동조사반이 옛 교도소 무연고자 공동묘지에서 발굴한 유골을 검시하고 있다. 합동조사반은 해당 유골과 5·18 민주화운동 행방불명자의 관련성을 조사하고 있다. 5·18기념재단 제공
옛 광주교도소 터에서 법무부 기록에 없는 유골 40여구가 발견된 것과 관련해 법무부가 자체 진상조사단을 설치했다. 유골이 발견된 곳은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신군부에 의해 살상된 민간인들이 암매장됐다는 의혹이 제기된 곳이어서, 해당 유골들이 5.18 당시 실종 행발불명자일 가능성이 주목되고 있는 상황이다.
(▶관련기사: [단독] 광주교도소 41명 합장묘 위 ‘또다른 40여명’ 유해 발견)
법무부는 23일 “광주교도소에 자체 진상조사단을 꾸렸다”며 “광주교도소 부지 안에서 발견된 신원미상 유골 매장 경위 등에 대해 조사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법무부 자체 진상조사단은 모두 9명으로 유승만 법무부 교정정책단장이 단장을 맡는다.
법무부 관계자는 “기존 합동조사단은 법적으로 변사자 처리 절차에 따라 검찰과 경찰의 수사 중심으로 진행된다. 반면, 법무부 자체 진상조사단은 법무부 내부에서 벌어진 일이니 당시 근무했던 사람들을 자체적으로 조사해보겠다는 것”이라며 “적극적으로 조사해 합동조사단에 자료 등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20일 기록에 없는 유골 40여구가 발견되자 검찰과 경찰, 군 당국은 즉시 5·18 당시 암매장된 행방불명자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긴급 합동조사단을 꾸렸다.
20일 발견된 유골 40여구는 통상의 ‘합장묘’와 다른 형태로 묻혀 있었다. 봉분 아래 땅속 1.5m 깊이에 묻혀 있던 콘크리트 관에는 서류상에 존재하는 정상적인 41명의 무연고자가 묻혀 있었다. 하지만 그 콘크리트 관 위로 다시 주검 40여구가 흩어진 형태로 추가 발굴된 것이다. 이 뼈들은 지면에서 10㎝ 정도 아래에 묻혀 있었는데 이들 40여명은 무연분묘 명단 등 법무부 기록에 없는 사람들이었다. 유골이 발견된 곳은 경비가 삼엄한 곳으로 일반인들이 들어오기 힘든 곳이어서, 조심스럽게 5.18 행방불명자들의 유골일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는 상황이다.
법무부는 관계 기관과 협력해 해당 유골의 유전자(DNA) 검사를 진행해 정확한 신원을 확인할 방침이다. 합동조사반은 이날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광주과학수사연구소에서 첫 회의를 열고, 감식 일정 등을 조율할 계획이다.
황춘화 기자
sflow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