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아침 7시18분께(한국 시간) 남아메리카 기아나의 우주센터에서 환경 위성인 ‘천리안2B호’가 발사되고 있다. 한국한공우주연구원 제공
우리나라와 아시아 지역의 미세먼지 정보를 수집할 ‘천리안2B호’ 위성이 발사돼 무사히 정지궤도에 안착했다.
환경부와 해양수산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일 아침 7시18분께 남아메리카 기아나의 우주센터(프랑스령)에서 정지궤도복합위성인 천리안2B호를 발사했다고 밝혔다. 발사 31분 뒤 고도 약 2580㎞ 지점에서 발사체를 분리한 위성은 6분 뒤인 아침 7시55분 호주 야사라가 지상국과 첫 교신을 했다.
한국한공우주연구원은 교신 뒤 위성 상태를 확인한 결과 별문제 없이 1차 도달 목표인 전이궤도(인공위성이 궤도를 이동할 때 중간 경로)에 안착한 것을 확인했다.
천리안2B호는 앞으로 약 2주 동안 전이궤도를 바꾸며 최종 목적지인 고도 3만6천㎞ 정지궤도로 접근하게 된다. 정지궤도에 안착하면 수개월 시험 기간을 거친 뒤 맡은 임무를 시작한다. 천리안2B호는 세계최초로 정지궤도를 도는 환경 위성이다.
이 위성에 설치된 환경 탑재체는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의 공기 중 농도를 측정할 수 있어 우리나라뿐 아니라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의 대기오염물질 발생과 이동 상황을 확인하는 임무를 맡는다. 그 옆에 설치된 해양 탑재체는 녹조·적조, 기름유출, 해양쓰레기 등 바다에서 일어나는 오염·재난 상황을 감시하고 바다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구실을 한다.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