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인식 서울시 대변인이 15일 서울시청에서 ‘직원 인권침해 진상규명에 대한 서울시 입장’을 밝힌 뒤 인사하고 있다. 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박원순 서울시장이 숨진 당일 성추행 피소 내용이 유출된 경위를 두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임순영 서울시 젠더특별보좌관이 고소 당일인 8일 박 시장에게 관련 내용을 보고했다는 증언이 나왔지만 그는 ‘피소 사실은 몰랐다’고 주장하고 있다.
15일 <한겨레> 취재 등을 종합하면 8일 박 시장에게 성추행 관련 의혹을 처음 보고한 이는 임 특보다. 서울시 사정을 잘 아는 관계자는 “낮 3시를 좀 넘겨 임 특보가 외부에서 제보를 받고 시장님께 긴급보고를 했다”고 전했다. 당시만 해도 임 특보는 구체적인 고소 내용은 인지하지 못했고, 박 시장 역시 구체적인 답은 피한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시 직원이었던 피해자가 박 시장을 업무상 위력에 의한 추행 혐의 등으로 서울지방경찰청에 고소한 것은 이날 오후 4시30분께다. 이후 피해자와 변호인은 이튿날인 9일 새벽까지 조사를 받았다. 텔레그램 메신저 등에서의 성희롱 혐의가 있어 증거인멸 등이 우려되는 만큼 고소 사실에 대한 각별한 보안이 요구되는 상황이었다.
고소장 접수 뒤인 이날 저녁 박 시장은 서울시의 일부 구청장과 저녁 모임을 하고 있었다. 밤 9시께 모임을 끝낸 박 시장은 시장 공관으로 돌아와 임 특보를 비롯한 일부 최측근 관계자와 비공식 대책회의를 연 것으로 전해진다. 이 자리에서 박 시장과 측근들은 사안의 심각성을 깨닫고 ‘사임’을 포함한 대책을 논의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회의 자리를 두고 임 특보는 언론 인터뷰에서 “늘 하던 현안 회의 중 하나였다. 시장님과 다른 두명이 더 있었다. 시장님이 낮에 하던 이야기를 다시 해보라고 했다. 그때도 저는 피소 사실은 몰랐다”고 주장했다. ‘피해와 관련된 내용은 전해 들었지만 고소장을 제출한 것까진 몰랐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이튿날인 9일 박 시장은 출근하지 않고 모든 일정을 취소했다. 고한석 당시 비서실장이 이날 오전 9~10시께 공관을 찾아 박 시장을 마지막으로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그는 오후 1시39분께에도 박 시장과 통화를 했다고 한다. 고 전 실장은 15일 서울 성북경찰서에서 박 시장이 숨진 경위를 두고 조사를 받은 뒤 기자들과 만나 ‘임 특보가 (피소 사실을) 보고한 사실을 알고 공관에 갔느냐’는 질문에 “아니다”라고 말했다.
고한석 전 서울시장 비서실장이 15일 오후 서울 성북경찰서에서 박원순 서울시장 사망 관련 참고인 조사를 마친 뒤 청사를 나서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박 시장에게 마지막으로 보고한 내용을 두고 임 특보의 주장과 또 다른 관계자들의 말이 엇갈리는 가운데, 그가 어떤 경로로 관련 내용을 입수했는지도 조속히 규명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고소장 접수 사실을 공유하고 있던 경찰과 청와대는 모두 “서울시에는 전한 적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유출 관련 의혹이) 이렇게 커진 마당에 일련의 상황을 시에서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지방경찰청은 숨지기 전 박 시장이 주고 받은 통화와 문자 기록을 확인하기 위해 숨진 당일 발견된 휴대전화 1대와 추가로 개인 명의로 개통된 2대 등 3대에 대해 전날 통신영장을 신청했다.
아울러 피해자가 ‘여러차례 주변에 피해를 호소했다’고 밝힌 만큼 성폭력 피해 사실이 어느 선까지 보고됐으며 어떻게 처리됐는지도 조사가 필요해 보인다. 당시 비서실을 책임지고 있던 오성규 전 비서실장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그런 심각한 일이 있었다면, 내게 보고가 들어왔어야 하는데, 들은 적이 없다”고 말했다.
채윤태 배지현 강재구 기자
cha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