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에서 관계자들이 21대 초선 국회의원 부동산재산 분석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21대 초선 국회의원 부동산 재산 상위 15명의 1인당 평균 신고금액은 58억여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16일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1대 국회 초선의원들이 후보 등록 당시 신고한 부동산 보유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 결과를 보면 초선 의원 151명 중 상위 10%(15명)의 부동산 재산 신고총액은 873억원이다. 1인당 평균 신고금액은 58억2천만원이다. 상위 15명을 정당별로 보면 미래통합당 6명, 미래한국당(현 통합당) 4명, 더불어민주당 3명, 더불어시민당(현 민주당) 2명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재산 신고액이 100억원이 넘는 초선 의원은 3명이었다. 부동산재산을 가장 많이 보유한 의원은 백종헌 통합당 의원이었는데 신고액은 170억원이었다. 김은혜 통합당 의원은 168억원, 한무경 미래한국당 의원은 168억 5천만원을 신고했다.
초선 의원 1인당 평균 신고액도 일반국민 평균보다 4배나 높았다. 초선 의원 1인당 평균 부동산 재산은 11억7천만원으로 일반국민 가구당 평균인 3억원보다 4배 가량 높았다. 정당별로 보면 통합당과 미래한국당 의원의 평균 부동산 신고액은 18억5천만원으로 민주당과 시민당 의원(7억8천만원)보다 2.3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초선 의원 가운데 다주택자는 28.5%로 조사됐다. 본인 또는 배우자 명의로 집을 한 채 이상 소유한 의원은 모두 125명(82.8%)이었는데, 이들 중 28.5%에 이르는 42명은 다주택자였고 4.6%(7명)은 3주택 이상을 보유했다.
이들이 보유한 주택이 수도권에 편중된 점도 문제다. 주택을 가진 초선 의원 125명이 보유한 주택 173채의 지역을 보면, 서울에 82채(47.4%)가 몰려 있다. 수도권으로 확대해서 보면 119채(68.8%)에 이른다. 강남 4구에 주택을 보유한 의원은 22명(14.6%)이었는데, 이들 중 서울이 지역구인 의원은 4명에 불과했다. 12명은 서울 이외의 지역구를 가졌고, 6명은 비례대표 의원이다.
경실련은 “국회의원들이 주택가격 안정을 위한 의정활동 아닌 본인 재산 증식에만 힘쓰면 국회의원 자격이 없다”며 “부동산재산을 모두 실거래가로 신고하게 하고, 부동산 재산이 많거나 다주택인 의원은 기획재정위원회와 국토교통위원회 등 관련 상임위원회에서 배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재구 기자
j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