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오후 서울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유경근 집행위원장(왼쪽)과 4.16연대 박승렬 공동대표가 정부에 세월호 참사의 진상규명을 촉구하며 연좌시위를 시작하고 있다. 연합뉴스
세월호 참사의 진상규명을 요구하며 청와대 앞에서 1주일째 농성을 진행했던 세월호 유족과 시민들이 조사에 협조하겠다는 정부의 입장을 확인하고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
유경근 4·16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은 추석 연휴 첫날인 30일 오후 페이스북에 ‘청와대 앞 농성을 마치며 드리는 말씀’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농성에 마침표를 찍는다고 밝혔다.
유 위원장은 “김제남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을 통한 두차례 협의와 노영민 비서실장 면담을 통해 국정원, 군을 비롯한 정부기관이 사회적참사 특별조사위원회(사참위)의 조사에 적극 협조하고, 자료 제출 요구에 불응하는 일도 없도록 (청와대가)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와 계획을 확인했다”며 “특히 박지원 국정원장 면담에서 ‘성역없는 진상규명’에 협조할 것임을 약속받았다”고 했다. 4·16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와 시민단체 4월16일의약속국민연대는 추석연휴 직후 군이 ‘성역없는 진상규명’에 제대로 응하는 것을 전제로 해군참모총장및 국방부 관계자와 면담을 할 계획이다.
24일 오후 서울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416연대 관계자 등이 정부에 세월호 참사의 진상규명을 촉구하며 집중행동 계획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 위원장은 “문재인 대통령과 국무총리의 약속에 따라 세우기로 했던 ‘국립마음건강 트라우마센터’ 건립이 기획재정부의 예산 삭감으로 제대로 진행되지 못했는데, 약속하고 의결한 대로 원상복구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문 대통령이 ‘적절한 시기’에 책임있는 입장표명을 하겠다는 청와대의 입장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세월호 희생자 유족들로 구성된 4·16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와 시민단체 4월16일의약속국민연대는 지난 24일부터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약속을 이행하라”고 요구하며 청와대 앞에서 무기한 연좌 농성을 벌여왔다. 이들은 “청와대가 국정원과 군 당국 등 정부 내 세월호 참사 관련 문서와 증거들을 찾아내 수사자료료 제공하고 이 과정을 검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이재호 기자
p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