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공사 조감도.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16일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공사를 시작했다. 지난해 1월 발표했던 것처럼 세종문화회관이 있는 서쪽은 광장으로 만들고, 미국대사관이 있는 동쪽은 5차선 도로를 7∼9차로로 넓히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하지만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등 시민단체들은 “졸속 추진”이라며 공사를 중단하고 내년 보궐선거에서 뽑히는 새 시장에게 결정을 넘기라고 요구했다.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은 이날 온라인 브리핑을 통해 “오늘 서울시는 4년여간 시민과 함께 구상한 광화문광장의 미래 청사진을 구현하기 위한 첫 삽을 뜬다”라며 “서울 도심 심장부인 광화문광장이 회색을 벗고 녹색의 생태 문명거점 공간으로 변모하고, 그 변화를 시작으로 전면 보행광장을 시민 품으로 돌려드리는 날이 오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총 공사비로 예산 791원을 편성했다. 내년 2월까지 1단계 공사로 동쪽 도로를 확장한 뒤 내년 5∼10월까지 서쪽에 공원을 조성하는 2단계 공사를 할 예정이다.
'사람이 쉬고 걷기 편한 광화문광장' 조성을 위한 공사가 시작된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 포크레인이 서있다. 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그러나 시민단체들은 공사를 중단해야 한다고 반발했다. 경실련과 도시연대, 문화도시연구소, 문화연대 등은 서울 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광화문 재구조화는 800억원이란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므로 5개월 뒤 새로 선출된 시장의 책임으로 진행하는 것이 타당하다”라고 주장했다.
김은희 도시연대 정책연구센터장은 “오세훈 전 시장이 750억원이나 들여 광화문 광장을 만든 지 10년 밖에 안 된 시점에서 또 800억원을 들여 추진해야 하느냐”라며 “차량 통행량 등에 대한 조사와 실험을 면밀하게 진행해야 한다고 한 시민사회단체의 요구를 전혀 반영하지 않은 채 공사부터 시작했다”라고 말했다.
전상봉 서울시민연대 대표도 “시민사회단체에서 요구한 것은 광장 조성을 어느 쪽(서쪽, 동쪽, 양쪽)으로 해야 한다는 것만이 아니라 광화문 재구조화에 따라 도시계획 전반을 시간을 두고 면밀히 검토하자고 한 것”이라며 “총책임자인 서울 시장도 없는 상황에서 예산을 확보했다고 추진부터 하는 건 맞지 않다고 본다”라고 말했다.
김양진 기자
ky0295@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