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서울 용산구의회 앞에 배달된 근조화환. 설혜영 구의원 제공
관내 재개발지역의 다가구주택을 사들여 부동산 투기 의혹과 함께 이해충돌 논란을 일으킨 성장현 용산구청장 사건을 국민권익위원회에서 다루게 될 것으로 보인다.
‘성장현 용산구청장 부동산투기규탄 시민행동’(시민행동)은 17일 성명을 내어 “공직자의 다주택 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인데, 성 구청장의 주택구입 문제는 구청장 스스로 재개발과 관련된 조합설립 인가 권한과 주택의 분양권을 모두 행사할 수 있기 때문에 이해충돌의 문제가 발생한다”며 성 용산구청장을 18일 국민권익위에 신고하겠다고 밝혔다.
성 구청장은 2015년 7월 용산구 보광동 한남뉴타운 4구역의 지상 3층, 지하 1층짜리 다가구주택을 30대 두 아들과 공동명의로 19억9천만원(대출 5억8천만원 포함)에 사들였다. 서울시와 용산구가 주택재개발 정비사업 조합설립을 인가(2015년 1월)한 직후다. 이 주택 시세는 그 이후 10억원 이상 뛴 것으로 나타났다. 성 구청장의 장남(39)과 처제(57)도 2018년 8월과 9월에 용산구 신창동 주택을 각각 9억2천만원, 8억원에 사들였다.
시민행동은 성 구청장의 주택구입 자금 출처에 관해서도 의혹을 제기했다. 성 구청장은 다가구주택 구입 한해 전인 2014년 공직자 재산신고에서 예금이 전년보다 3억3280만원 증가했다고 신고했는데, 그 이유로 ‘출판기념회 및 소득 저축’이라고 적었다. 시민행동은 “공직을 이용해 2013~14년에 출판기념회를 여는 등의 방법으로 수억원의 부동산 구입 자금을 마련한 것으로 의심되는 점도 큰 공분을 자아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민행동은 18일 오전 11시 용산구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앞으로 주민서명운동 등을 벌여나간다는 계획이다.
한편, 성 구청장의 부동산 투기 의혹과 이해충돌 논란을 제기했던 구의원도 경찰 조사를 받게 될 전망이다.
성 구청장의 부동산 투기 의혹 등을 집중적으로 제기해온 설혜영 구의원(정의당)은 지난달 8일 용산구에 성 구청장의 지난 10년간 재산신고 자료를 제출해달라는 공문을 만들었다. 구의원의 자료제출 요구는 구의회 의장을 경유하는데, 김정재 용산구의회 의장(국민의힘)이 ‘손님이 찾아왔다’며 직인을 찍지 않고 미뤘다고 설 구의원은 주장했다. 이 공문은 나흘 뒤에야 김 의장의 직인이 찍혀 구청에 제출됐다. 설 구의원은 “감시·견제해야 할 구청장을 구의회 의장이 비호하고 있다”며 구의회 앞에서 농성을 벌이고 있다.
지난달 20일 김 의장은 공문제출 지연과 관련해 설 구의원에게 사과하기로 하고 사과문 초안까지 마련해 해결되는 듯했지만, 김 의장은 지난 9일 “이미 공개된 재산신고 내역을 굳이 서류제출로 요구해야 하는지 더 검토하라고 한 것을 설 구의원이 에스엔에스(SNS)에 ‘의장이 서류제출 요구 결재를 거부한다’고 표현했다”며 설 구의원을 명예훼손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다. 고소장에는 국민의힘 소속 구의원 3명, 민주당 소속 구의원 5명이 ‘김 의장의 주장이 사실’이라고 증언한 확인서가 첨부됐다고 한다. 김 의장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결재를 안 한 것이 아닌데도 설 구의원이 에스엔에스, 수백명이 있는 단톡방, 언론 등에 (내가 구청에 요구하는 서류 결재를 거부했다고) 알려 명예가 훼손됐다”고 말했다.
지난 16일 한 시민은 ‘삼가 용산구 민주주의의 명복을 빕니다’라는 문구를 적은 근조 화환을 용산구의회 앞으로 배달시켰다.
김양진 기자
ky0295@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