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여성

“남초커뮤니티의 ‘젠더 갈등’ 폭증, 지난해 4월부터 정치와 밀착”

등록 2022-04-08 10:44수정 2022-04-08 14:49

여성정책연구원, 남초커뮤니티 소셜 빅데이터 분석
재보궐, 집게손가락, 여가부, 안산 관련
이준석, 빈출 키워드 중 유일한 ‘정치인 이름’
온라인 젠더 이슈, 정치권 비판·지지 논의로 확장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젠더리뷰’ 갈무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젠더리뷰’ 갈무리

지난해 상반기를 기점으로 온라인 젠더갈등 양상이 정치논의와 급격하게 밀착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 1∼8월까지 남초 커뮤니티에 올라온 젠더 갈등 관련 인기글 5만1386건을 분석해 도출한 결과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지난 4일 <젠더리뷰>에 김원정 성평등전략사업센터장이 작성한 ‘소셜 빅데이터를 통해 본 2021년 상반기 젠더갈등 논의 양상-온라인 남초 커뮤니티를 중심으로’라는 제목의 연구보고서를 공개했다.

연구진은 ㄱ커뮤니티에 게재된 젠더갈등 관련 게시글의 양적 분석, 빈출 키워드 분석, 토픽 모델링 분석(게시글에 사용된 주제어의 동시 사용 패턴을 바탕으로 해당 글을 대표하는 특정 주제나 이슈, 주제 그룹을 분류하는 기법)을 진행했다.

게시글이 가장 처음 폭증한 시점은 지난해 4월7일 재보궐선거 때였다. 연구진은 1∼3월에 올라온 게시글에 비해 상당히 많은 양의 글이 게재됐다고 짚었다. 이런 갑작스런 폭증 양상은 세차례 더 있었다. △지에스(GS)25 편의점 ‘남혐’ 포스터 논란(5월)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 시 유승민 전 의원의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7월) △양궁 국가대표팀 안산 선수 온라인 괴롭힘 사태(7월 말~8월 초)다. 게시글이 폭증한 4차례 기점 중 두차례가 선거 관련이다.

상위 빈출 10대 키워드는 순서대로 여성, 남성, 페미니스트, 여성가족부, 한국, 폐지, 차별, 더불어민주당, 이준석, 정책이었다. 상위 30대 키워드에 포함된 정치인의 실명으로는 이준석 국민의힘 당대표가 유일했다.

‘페미니즘 비판’ 글 빈출 키워드로 꼽힌 ‘스윗’

토픽 모델링 결과는 남초 커뮤니티 이용자들이 공유하는 피해자 정서를 이해하는 열쇳말을 제공한다. 연구진은 게시글의 주제를 6가지로 분류했다. △페미니즘 비판 △남성차별적 제도와 여성정책 비판 △‘젠더갈등’ 관련 정치권에 대한 비판 혹은 지지 △일상생활의 에피소드 △남성의 잠재적 피해에 대한 우려 △대선 이슈로서 여성가족부 폐지 논의 등이었다. 연구진은 이 가운데 ‘페미니즘 비판’ 주제 게시글에 ‘스윗’이란 단어가 주요 빈출 키워드로 등장한 점을 주목했다. ‘서윗’‘서윗남’ 등으로도 쓰이는 이 용어는 여성을 배려하는 페미니스트 남성을 비꼴 때 쓰는 말로, 특히 586세대 진보 남성을 지칭할때 함께 쓰인다. 연구진은 “가부장제 혜택을 누린 기성세대 남성들이, 그러지 못하는 청년 남성의 고충을 헤아리기보다 오히려 청년 여성의 편을 든다고 비판하면서 청년 남성은 여성과의 관계에서도 차별받지만, 기득권을 가진 기성세대와의 관계에서도 약자의 위치에 있다는 구도를 만들어낸다고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과거 유사한 연구 결과와 대조하며 지난해 젠더 이슈가 생산·소비된 양상의 특이점을 짚었다. 앞서 2014년 7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진보성향 남초 커뮤니티에 올라온 젠더 이슈 관련 게시글의 주요 주제(<청년 관점의 ‘젠더 갈등’ 진단과 포용국가를 위한 정책적 대응 방안 연구>, 마경희, 2020)는 4가지(△온라인 페미니즘 비판 △권력화된 여성단체, 여가부와 진보정치의 위기 △여성 위주 성평등 정책 비판과 남성차별 △성폭력 이슈에서 남성의 피해자화)였는데 “(최근 논의는) ‘젠더갈등’과 관련된 정치권에 대한 비판 혹은 지지 논의로 확장됐다”는 것이다. 과거보다 젠더 이슈와 정치 논의의 연계성이 강화됐다는 의미다. 남초 커뮤니티 이용자는 젠더 이슈에서 정치권이 어떤 입장을 취하느냐에 따라 지지하기도, 비판하기도 했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이 시기 남초 커뮤니티에서 젠더 이슈 관련 논의는 정치·선거 관련 논의와 거의 밀착된 양상을 보였다는 점이 특이점”이라며 “향후 성평등 정책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성별 간 대립을 부추기는 정치구도를 어떻게 넘어설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최윤아 기자 a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혐오와 차별 없는 세상을 위해
지금, 한겨레가 필요합니다.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