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녹차냐 청차냐 흑차냐

등록 2008-08-27 18:09수정 2008-08-30 16:09

녹차냐 청차냐 흑차냐
녹차냐 청차냐 흑차냐
[매거진 esc] 커버스토리 보이차에 관한 기본 상식과 대표적인 판매처들
보이차(푸얼차)는 중화인민공화국 윈난 성 남부지방에서 생산한 차다. 독특한 향과 색을 가졌으며 약용으로도 널리 쓴다. 이 보이차를 말이나 당나귀에 싣고, 티베트나 네팔, 인도에 수출한 길을 차마고도(茶馬古道)라고 한다.

차는 발효 정도로 나눈다. 흔히 마시는 녹차는 차나무의 수종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고 증기나 열로 가열해 고유의 녹색을 유지한 것이다. 발효 정도가 10% 이하인 불발효차에 해당한다. 그 다음엔 발효 정도에 따라 백차(5~15%)-청차(15~70%)-홍차(70~95%)로 나뉜다. 술집에 가면 흔히 보는 우롱차(오룡차)는 청차에 해당한다. 황차·흑차는 후발효차로 조금 다르다. 본디 ‘발효’란 효모에 의한 신진대사가 있어야 하지만, 차 분류법에서는 효모의 개입 없이 ‘숙성’ 정도의 의미로 사용된다. 가공한 형태에 따라서는 병차(빈대떡 모양), 전차(벽돌 모양), 타차(사발 모양), 산차(덩어리 없는 잎차 형태)로 나뉜다.

보이차는 최근 국내에서 인기가 높아져 인터넷에서 판매하는 곳이 늘었다. 또 와인처럼 투기의 대상이 돼 한때 가격이 급등했다. 박홍관 소장으로부터 전국의 대표적인 보이차 찻집·판매처를 추천받았다. 명가원(02-736-5705), 소슬다원(02-739-3035), 람가헌(02-543-5634), 청백원(053-253-1121), 매다옹(053-426-7228), 쌍어각(053-761-0900), 녹백다원(051-246-6141), 삼인행(051-245-8958) 등이 대표적이다.

※참고 〓<중국차의 이해>(김경우, 다도), <알고 보면 쉬운 차>(혜우스님, 이른아침)

글 고나무 기자 dokko@hani.co.kr·사진 박미향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