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돈내기 위력 장난 아니네

등록 2009-11-11 19:04수정 2009-11-14 10:09

너 어제 그거 봤어?
너 어제 그거 봤어?
[매거진 esc] 너 어제 그거 봤어?




한국방송 <개그콘서트>가 개그계를 평정해버린 요즘, 두 개의 개그 프로그램이 시청자와 작별을 고했고 동시에 두 개의 새로운 개그 프로그램이 방송을 시작했다. 문화방송은 <개그야> 폐지 이후 이경실을 내세워 새롭게 선보인 개그 버라이어티 <하땅사>(‘하늘도 웃고 땅도 웃고 사람도 웃고’의 준말)를, 한국방송은 <코미디쇼 희희낙락>을 폐지하고 박미선·이봉원 부부가 출연하는 <개그스타>를 신설했다. 방송 칼럼니스트 정석희(사진 오른쪽)씨와 대중문화평론가 차우진씨가 신설된 두 편의 개그 프로그램을 들여다봤다.

연기력 좋지만 트렌드 포착 뒤떨어지는 한국방송 ‘개그스타’
쟁쟁한 선배 개그맨들의 존재감 두드러지는 문화방송 ‘하땅사’

차우진(이하 차) 2~3년 전에 <웃찾사>와 <개콘>이 어깨를 겨뤘다. 그러다가 <개그야>가 ‘사모님’으로 뜨면서 3개 프로그램이 경쟁구도를 이뤘다. 그러다가 <개그야>가 먼저 떨어져나가고, <웃찾사> 역시 뒤처지면서 <개콘>만 살아남았다. <개콘>은 올해로 10년이 되면서 이제 개그맨들의 폭도 두껍고 신인 개그맨들을 훈련시키는 구조가 자리잡았다. 그렇지만 에스비에스와 문화방송은 여전히 불안해 보인다. 한국방송도 <개콘>을 제외하고는 이런저런 시도를 했던 개그 프로그램들이 대부분 잘 안됐다.

정석희(이하 정) <하땅사>와 <개그스타>가 비슷한 때 신설돼서 묘하게 대결 구도가 형성됐다. 신설된 프로그램이지만 방송사 특유의 분위기가 강하다. <하땅사>는 <웃찾사>와 예전 <개콘> 멤버들이 대거 출연하는데도 <개그야>스럽고, <개그스타>는 <폭소클럽> 느낌이다. 이 두 프로그램의 공통점은 개그맨 선배들이 프로그램을 이끌면서 후배들에게 기회를 준다는 점이다. <개콘>도 김미화, 전유성 등이 틀을 잡았던 것처럼 두 프로그램 역시 각각 이경실과 박미선 등이 주축이다.

이봉원 등 개그맨이 이끌어가는〈개그스타〉. 한국방송 제공
이봉원 등 개그맨이 이끌어가는〈개그스타〉. 한국방송 제공

방송사 특유의 분위기 배어나


최근 박미선, 이봉원, 이성미 등 예전에 활동했던 개그맨들이 복귀하면서 뭔가 모여서 하겠다는 생각은 했다. 그 결과가 <개그스타>인 듯하다. <개그스타>는 예전 콩트식 상황극 코미디와 공개 코미디의 절충 형식이다.

이봉원처럼 예전에 활동했던 개그맨들이 다시 콩트를 하는 건 보기 좋다. 문제는 아이디어가 지금의 트렌드와 맞지 않는다는 거다. ‘진실의 식탁’은 ‘대화가 필요해’보다 감각이 떨어진다. ‘진실의 식탁’에서 부부인 이봉원과 박미선은 시아버지와 며느리를 연기한다. 그런데 매회 반복되기만 할 뿐 재미를 줄 만한 요소가 없다. 이봉원과 박미선을 지켜봤던 세대인 내가 봐도 재미가 없다. 이봉원은 카메오로 출연했던 <지붕 뚫고 하이킥>에서도 그랬지만 놀랍게 연기를 잘한다. 연기는 좋은데 트렌드를 읽으려는 노력이 부족하다.

이봉원은 박미선이 받아주지 않으면 눈에 띄게 웃음의 힘이 약해진다. 이봉원을 비롯한 ‘아저씨 코미디언’이 시청자를 웃기지 못하는 건 계속 자기의 과거를 드러내며 옛날의 영광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그 틀에 있으니까 보고 있어도 우습지 않다.

반면 이경실이나 박미선 등 여성 코미디언은 유행하는 음악이나 아이돌 문화도 잘 알고 있다. 전반적인 흐름과 트렌드를 따라가려는 노력이 보인다. <하땅사>의 초창기 진행자는 박미선이었다. 그런데 <개그스타>가 신설되면서 이쪽을 택했다. 그런데 저쪽에는 박미선의 빈자리가 보이고, 이쪽에서는 박미선이 제자리를 못 잡은 것 같다. 박미선이 소모되는 느낌이다.

<개그스타>는 대세인 <개콘>과 아예 다르게 가거나, 무척이나 빠른 <개콘>과 속도감을 다르게 하는 게 방법일 텐데, 그런 차별 지점을 찾기보다 옛날 코미디만 반복하고 있다.

아무리 복고가 유행이라고 해도 재현 방식은 그 옛날과 100% 같지 않다. 코미디도 마찬가지다. 반가운 얼굴들이 나오는 것도 좋지만 유세윤 등 젊은 개그맨들에게 더 힘을 실어주면 좋겠다. 교통정리를 좀더 잘하면 괜찮아지지 않을까.

<개그스타>는 코미디인지 버라이어티 진행인지 알 수 없는 개그와 시간 낭비 같은 토크 품평 등이 이어지다가 갑자기 ‘전국개그자랑’이라는 개그 콘테스트로 넘어간다. 언제 어떻게 선정돼 나오게 됐는지, 또 신인 개그맨인지 개그맨 지망생인지 알 수 없는 참가자들이 나오다 보니까 감정이입도 잘 되지 않는다. ‘늦었어’ 코너 정도 말고는 빵 터지는 코너도 없다. 거기에서 계속 우승한다고 뭐가 크게 달라지는지도 잘 모르겠다.

<하땅사>는 ‘전국개그자랑’과는 다른 형식의 서바이벌 개그를 보여준다. 박준형이 이끄는 엠(M)패밀리와 정찬우가 이끄는 시(C)패밀리가 코너 대결을 펼치고 방청객들이 버튼을 눌러서 탈락 여부를 결정하는데 수긍이 가는 경우가 많다. 전혀 조작이 없다면 괜찮은 시스템인 것 같다.

<하땅사>는 100만원을 걸고 한다. 돈 걸고 하는 거 보니 장난이 아니구나 싶었다. 뭔가 굉장히 ‘케이블스러운’ 부분이 많다. 소리나 화면은 너무나 문화방송인데 마치 케이블 티브이에서 만든 것 같은 내용을 보고 있으니 기분이 이상했다.

‘케이블스러운’ 이 느낌은 뭐지?
서바이벌 형식의 개그 버라이어티 〈하땅사〉. 문화방송 제공
서바이벌 형식의 개그 버라이어티 〈하땅사〉. 문화방송 제공

유시시(UCC) 개그 ‘나 이런 사람이야’는 가학의 정도가 재미를 넘는다. ‘마빡이’와 ‘패션7080’을 섞은 것 같은 프로그램인데 분수에서 머리를 감는다든지, 볼링 레인에 몸을 던진다든지 하는 노력은 가상하다.

유튜브에서 사고 나는 동영상을 보는 것 같다. 보기에 불편한데 왜 계속하는지 이해가 안 된다.

<하땅사>에는 계속 보다 보니 좋아하는 코너도 생기고, 괜찮은 코너 두 개가 함께 올라오면 어떤 코너가 우승할까에 대한 기대감도 있다. 코너들이 일주일 동안 노력해서 만든 티가 난다. 신인 개그맨들의 얼굴도 서서히 눈에 익어 간다. 재미있는 코너는 검색을 해보기도 한다. 이 정도면 꽤 희망이 있는 거 아닌가.

‘좀비’나 ‘두드림’, ‘에리카’는 괜찮다. ‘두드림’에서 김미려의 아줌마 연기는 재미있다. 너무 김미려에 시선이 쏠려 상대적으로 다른 멤버들이 개성을 못 살리는 경향이 있기는 하다. <하땅사>를 보면 시 패밀리와 엠 패밀리 각 팀에 앉아 있는 개그맨들을 보면서 ‘아 저 사람이 예전에 <웃찾사>에서 이런 걸 했지’, ‘예전에 <개그야>에서 웃겼는데’ 하는 생각이 든다. <하땅사> 때문에 요즘 들어 처음으로 문화방송 코미디를 보면서 웃는 것 같다. 그래도 문화방송 개그맨들의 연기력은 여전히 문제가 있다.

‘노브레인 서바이벌’ 등의 코너가 있었던 <코미디 하우스>는 재미있는 개그 프로그램이었다. 문화방송 개그의 맥을 잘 이어가지 못하고 있다. <코미디 하우스>에서 활약했던 이경실과 언제 봐도 든든한 지상렬의 존재감이 좋다. 후배에게 기회를 주는 건 좋지만 진행만 하지 말고 코너에도 참여하는 모습을 보고 싶다. 너무 강렬해서 다른 개그맨들을 가릴 수도 있겠지만.

<하땅사>에서는 대결 구도로 가면서 바로 떨어지는 코너를 선정한다. 참 잔인하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개콘>에서는 카메라 밖에서 일어나는 일을 공개적인 방식으로 만들어 방송으로 찍어 보여주는 것뿐이다. <개콘>은 신설 코너라도 반응이 별로면 바로 다음주에라도 막을 내린다. 개그맨들은 기를 쓰고 아이디어를 내고 코너를 짠다. 선후배를 막론하고 경쟁한다. 그게 지금의 <개콘>을 있게 했다. 물론 옳은 방식인지에 대한 의문은 남는다.

오래 버티는 게 중요해

<개그스타>와 <하땅사> 모두 가능성이 있기는 하지만, 얼마나 지속될지는 잘 모르겠다.

오래 버티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개콘>보다 더 나은 공개 코미디를 못할 거라면 공개 코미디 쪽은 <개콘>에 몰아주고, <개콘>과는 다른 성격의 프로그램으로 다른 줄기를 만드는 게 어떨까.

■ 이 사람, 눈에 띄네

“<개그스타>의 유세윤. 유세윤은 <개콘>으로 떠서 최근에는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 자주 출연하고 있지만 <개콘>을 비롯해 <희희낙락>에 이어 <개그스타>까지 개그 프로그램에는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개그를 꾸준히, 또 열심히 하려는 모습이 보기 좋다.”(정석희)

“<하땅사> ‘두드림’의 김미려. ‘사모님’ 때도 그랬지만 연기를 보면 ‘역시 김미려’라는 찬사가 절로 나온다. ‘에리카’에 나오는 김현정과 함께 가장 눈에 띈다. 그렇지만 반가운 걸로 치자면 김미려가 먼저다.”(차우진)

■ 이 코너, 재미있네

“<하땅사> ‘설이별이’가 재미있다. 특이하다. 옛날식 개그와 <개콘>에서 본 듯한 코너를 합친 것 같기도 하지만 발상이 특이하다. 어법이 재미있고 서로 말을 주고받는 게 참신하다.”(정석희)

“<하땅사> ‘좀비’는 반복되는 구조지만 매번 이야기를 다르게 만든다. 좀비라는 소재와 설정이 재미있다. <개그스타>에서는 ‘늦었어’가 가장 괜찮았는데, 회가 거듭될수록 말장난이 반복되는 느낌이 든다.”(차우진)

정리 안인용 기자 nic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