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거진 esc] 스타일
‘할머니 룩’ 유행 타고 니트 인기 상승…넉넉하고 헐렁한 디자인이 대세
‘할머니 룩’ 유행 타고 니트 인기 상승…넉넉하고 헐렁한 디자인이 대세
찬 바람이 싸늘하게 불어오면, 호호 불어 먹는 호빵뿐만 아니라 니트가 간절해진다. 니트를 짜는 실이 모, 캐시미어 등 따뜻한 소재이기도 하지만, 실이 엮여 있는 사이사이를 메운 공기가 보온층 구실을 하기 때문에 니트의 포근함은 배가된다. 니트 없는 겨울은 상상하기 어렵지만, 올해는 할머니 옷장에 있던 옷을 막 꺼내 입은 듯한 ‘그래니 룩’(일명 ‘할머니 룩’)이 유행하면서 더더욱 니트가 인기를 끌고 있다. 늘 입던 스웨터와 카디건뿐만 아니라 코트, 원피스 등 종류도 다양해졌다. 이수진 앳코너 디자인실장은 “올겨울엔 가장 많이 입는 니트웨어인 스웨터와 카디건뿐만 아니라 코트, 스커트, 원피스, 크롭트 티, 맨투맨 티 등 다양한 아이템에 니트 소재가 적용돼 그 어느 때보다 패션 시장에 활발함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올겨울을 따뜻하고 예쁘게 보낼 수 있도록, 니트 유행 경향과 고르는 법 등을 알아봤다.
길이는 길게, 전체 선은 헐렁하게
코트 등 겉옷과 마찬가지로 니트도 지난해에 이어 계속해서 본래 몸보다 한두 치수 큰 듯한 오버사이즈가 유행하고 있다. 전체적인 선이 넉넉하고 헐렁하기 때문에 편안하고 포근한 느낌을 주는 옷이 많다. 특히 오버사이즈의 터틀넥 니트는 목을 답답하게 만들지 않으면서도 따뜻함을 지킬 수 있고, 받쳐 입는 하의나 외투에 따라 여성스러운 느낌과 남성적인 느낌을 원하는 대로 낼 수 있다. 가령 화려한 무늬나 길이가 짧은 치마를 함께 입으면 사랑스러운 느낌을 연출할 수 있는 반면, 통이 넓은 와이드팬츠를 함께 입으면 시크한 분위기가 난다. 니트 안에 길이감 있는 셔츠를 입으면 단정해 보이고, 니트 위에 조끼를 덧입으면 독특한 느낌이 난다.
니트의 전체적인 길이도 길어져 무릎 아래까지 내려오는 카디건, 재킷 등이 많이 나와 있다. 치렁치렁해 보이는 이런 니트는 소재에 따라 겉옷으로 활용할 수 있고, 패딩 조끼나 코트를 덧입어도 된다. 김태연 럭키슈에뜨 디자인실장은 “무릎 아래까지 내려오는 롱스커트나 원피스와 매치하면 발랄하고 여성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덩치 커도 걱정 없는 롱스커트, 원피스
올해 니트 가운데 눈에 띄는 또다른 아이템은 바로 롱스커트와 원피스다. 니트 소재의 치마는 몸선이 그대로 드러나는 탓에 입기를 망설이는 이들이 많은데, 요즘엔 치마 역시 여유 있는 디자인이 많아 그런 고민을 덜어준다. 오히려 중간 정도의 두께에 살짝 여유 있는 핏을 선택하면 몸의 결점을 가릴 수도 있다. 이선미 스타일리스트는 “니트 원피스 안에 민소매의 셔링 원피스 끝단이 보이도록 매치하거나, 남성용의 큰 니트를 미니 원피스로 활용해도 예쁘다”고 말했다.
니트로 된 치마 위에 치마 길이와 비슷하거나 좀더 긴 코트나 패딩을 걸치면 전체적으로 키가 크고 늘씬해 보인다. 같은 니트 소재를 덧입으면 ‘할머니스러운’ 느낌을 낼 수 있는데, 이럴 땐 엉덩이 길이의 카디건이 적당하다. 모직 코트나 가죽 재킷을 외투로 선택하면 세련된 느낌을 줄 수 있다. 니트 원피스엔 앵클부츠나 첼시부츠, 워커처럼 발목을 덮는 신발을 신는 게 멋스럽다.
흔한 스웨터·카디건 말고도
니트 코트·스커트·재킷 등 다양
하의·외투에 따라 여러 분위기로
두께감 있어야 체형 보완 가능
꽈배기, 자카르에 다양한 색상
꽈배기 무늬는 니트의 ‘고전’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무늬다. 올해도 꽈배기 무늬는 니트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경향인데, 무늬를 자잘하게 넣거나 전체적인 실루엣을 넉넉하게 하는 등 자칫 부해 보일 수 있는 이 무늬의 단점을 보완한 디자인이 많이 나와 있다. 다양한 무늬가 촘촘하게 짜인 자카르(흔히 자카드로 씀) 패턴의 니트, 프린지(술) 장식이 달린 니트, 모자가 달린 니트와 함께 폭이 넓고 길이가 매우 긴 머플러도 인기를 끌고 있다.
색상으로는 검은색, 흰색, 회색 등 기본 색상 말고도 갈색, 카키색, 베이지색 등 따뜻하고 자연스러운 느낌의 색깔이 많다. 올해 유행 색깔인 마르살라(팥죽색)를 비롯해 버건디, 오렌지 등 따뜻한 계열의 색상도 인기다.
보온성은 캐시미어, 두께는 체격에 맞게
다른 옷도 마찬가지지만, 니트는 특히 자신의 체형을 고려해 골라야 한다. 실의 종류, 짜임, 무늬 등에 따라 천차만별의 느낌을 내는 게 니트이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는, 마른 사람이라면 두툼한 니트를, 체격이 큰 사람이라면 그보다 얇은 니트를 고르는 게 좋다. 하지만 과도하게 두껍거나 얇은 옷은 오히려 더 단점을 부각시키기 때문에 자신의 몸에 맞는 적당한 두께를 찾는 게 중요하다.
디자인과 색상 말고도 니트를 고를 때 신경 쓰이는 게 바로 소재다. 까끌까끌한 촉감에 예민한 사람이라면 캐시미어가 어느 정도 들어간 니트를 고른다. 캐시미어는 모보다 부드럽고 가볍지만 보온성은 더 뛰어나다. 또한 두께도 적당해 체형을 커버하는 데도 유리하다. 이 때문에 캐시미어는 코트나 패딩 등 외투 안에 입을 스웨터, 카디건 등에 많이 쓰인다. 이선미 스타일리스트는 “실 자체에 꼬임이 있거나 두꺼운 실로 만든 니트는 잘못 입으면 체격이 더 커 보일 수 있는데 캐시미어가 들어 있는 제품은 그런 위험이 적다. 100%가 아니라도 어느 정도 캐시미어가 섞여 있으면 피부에 자극이 덜하고 입기도 편하다”고 말했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사진 각 업체 제공
앳코너
럭키슈에뜨
닐바렛
스텔라 맥카트니
니트 코트·스커트·재킷 등 다양
하의·외투에 따라 여러 분위기로
두께감 있어야 체형 보완 가능
아메리칸 이글
바나나 리퍼블릭
시리즈
바네사브루노아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