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직선으로 달릴 땐 보이지 않는 것들

등록 2016-03-09 20:34수정 2016-03-10 14:55

[매거진 esc] 공유하기
얼마 전 자동차를 운전해 부산에 다녀왔습니다. 으레 경부고속도로를 탈 줄 알았는데, 내비게이션이 안내한 길은 다르더군요. 영동고속도로로 가다 경기 여주에서 중부내륙고속도로로 바꿔 타고 경북 김천까지 달렸습니다. 거기서부터 잠깐 경부고속도로를 타고 대구까지 가니 이번에는 신대구~부산 고속도로를 타라는 것이었습니다. 10년 전 새로 생긴 길이더군요. 부산에 도착한 뒤 지나온 경로를 그려보니 거의 일직선에 가까웠습니다.

그러고 보면 온 나라 길이 알게 모르게 직선화돼왔습니다. 태백산맥을 관통하는 터널이 생기면서 대관령, 미시령 같은 고개를 굽이굽이 넘던 길은 이제 차가 거의 안 다니는 ‘옛길’이 되고 말았습니다. 이제 서울에서 동해안까지 빠르면 2시간대 안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문득 20여년 전 기차 타고 강릉 가던 때를 떠올려봅니다. 원주, 제천을 거쳐 빙빙 돌아가는 바람에 6시간이나 걸렸지만, 푸른 바다와 나란히 달리던 순간의 그 감동을 지금도 잊지 못합니다.

지난해 루트66을 달렸습니다. 1926년 개통한 미국 최초 대륙 횡단 고속도로로, 미국인들이 ‘마더 로드’(어머니의 길)라 부르는 길입니다. 하지만 1950년대에 더 넓고 빠른 고속도로가 들어서면서 루트66을 지나는 차가 급격히 줄었고, 나중에는 아예 고속도로 자격을 잃었습니다. 이를 안타까워한 이들이 쇠락한 옛길의 명성을 복원하는 데 앞장서면서 ‘히스토릭 루트66’이란 이름의 문화 역사 도로로 거듭났고, 길이 지나는 소도시들은 관광 명소가 됐습니다. 이는 픽사 애니메이션 <카>(2006)의 토대가 됐습니다.

이번주 커버스토리로 소개했듯이 우리에겐 루트66보다 더 멋진 길이 많습니다. 바닷가 따라 굽이굽이 도는 길을 느릿느릿 가다 보면, 평소 직선으로 빠르게 달릴 땐 안 보이던 것들이 새삼 눈으로, 가슴으로 들어올 겁니다. 길만 그럴까요? 우리네 삶도 그러리라 생각해봅니다.

서정민 esc팀장 westm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