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ESC] 파는 만두가 원래 맛있다

등록 2021-05-06 04:59수정 2021-05-06 09:28

사진 임경빈(어나더비주얼 실장)
사진 임경빈(어나더비주얼 실장)

설날이면 다른 집이 그랬던 것처럼 만두를 빚었다. 다리를 접은 교자상 위에 밀가루 반죽을 밀대로 편 다음, 주전자 뚜껑을 이용해 동그랗게 피를 찍어냈다. 반죽과 밀대 작업은 어른의 몫이었고, 나는 만두피 찍어내는 걸 좋아했다. 주전자 뚜껑의 놀라운 기능에 감탄하면서 말이다. 소도 당연히 집에서 만들었다. 핵심 재료인 두부는 삼베로 감싼 뒤 세탁기 옆에 붙어있던 탈수기에 돌려 물기를 뺐다. 빨래용 탈수기가 식품 가공에도 사용된 셈이다.

초등학교를 졸업할 때 즈음 설날이었던가. 나는 만두피를 찍어낼 기대감에 부풀어 있었다. 이번엔 주전자 뚜껑 사이 사이의 공간을 최대한 좁혀 가장 효율적인 만두피를 만들어보겠다고 다짐도 했다. 하지만 웬걸. 엄마가 “가게에서 만두피 좀 사와라”고 하시는 게 아닌가. ‘만두피는 집에서 만들어야 해요, 그래야 제가 만두피를 찍을 수 있잖아요’라고 마음 속으로 외치고 있었으나, 심부름 값 200원에 나는 만두피를 사러 가게에 갈 수밖에 없었다. 아직도 그 광경이 생생하다. 만두를 빚으며 “이렇게 편하다”, “산 만두피가 더 쫄깃하고 맛있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던 엄마와 할머니 모습 말이다.

돌이켜보면, 만두는 예전부터 만든 것보다 산 제품이 맛있었다. 집에서 빚은 만두도 나름의 매력이 있으나 맛이 균일하지 않고, 특히 밍밍한 소가 불만이었다. 반면, 식품 기술의 발달로 더 위생적이고 다양해진 냉동만두는 소비자의 혀를 유혹 중이다. 맛이 자극적이라는 비판도 있지만, 가정식 만두처럼 순한 맛을 내는 제품이 나올 정도로 ‘만두 스펙트럼’은 넓어지고 있다.

최근엔 얇은 피 만두가 유행이라고 한다. 냉동식품이라 다행이지, 예전이었다면 가족들 팔이 남아나지 않았을 것이다

이정국 팀장 jg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