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아오른 월드컵 마케팅
월드컵 킥오프, 소비자를 유혹하라
월드컵 킥오프, 소비자를 유혹하라
‘막은 올랐다. 소비자들을 유혹하라!’
독일월드컵을 앞두고 기업들이 마케팅 효과를 얻기 위해 안간힘이다. 2002 한-일월드컵 한국의 4강 신화에 힘입어 극적인 마케팅 효과를 얻은 바 있어, 기업들은 이번 월드컵에서도 자사 브랜드 및 제품을 소비자에게 알리기 위해 갖은 방법을 총동원하고 있다.
가전·통신·금융 가릴 것 없이 ‘월드컵 마케팅’ 올인
아드보·문근영 동원…꼭짓점 댄스…4강신화 향수 자극 이니셜로 통한다=삼성전자는 자사 제품인 ‘파브(PAVV)’의 V 두개와 거스 히딩크, 딕 아드보카트 감독을 연결해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첫 V는 히딩크의 ‘Victory 2002’를 뜻하고, 다음 V는 아드보카트의 ‘Victory 2006’을 의미한다. 애초 PAVV의 ‘Powerful Audio & Vast Vison’ 의미보다 월드컵이 더 강조되고 있다. 이런 양상은 자사 브랜드를 알리기 위한 중소기업에서도 나타난다. 휴대폰 제조업체인 VK의 경우 ‘빅토리 코리아’(Victory Korea)를 컨셉으로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최근 출시한 VK700C를 아예 ‘빅토리폰’으로 칭하며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펼치고 있다. 코원도 ‘코리아 원더풀’(Ccrea Wonderful)로 통하고 있다. ‘COREA WONDERFUL 2006’ 전용 이벤트 페이지를 별도 운용해 월드컵과 자사 브랜드를 연결시키고 있다. 춤으로 뜬다=월드컵 공식 응원춤으로 ‘꼭지점 댄스’가 뜨는 분위기다. 포털사이트 다음은 재빨리 관련 카페와 동영상을 만들어 자신의 것으로 취했다. 또 그 춤의 원조격인 영화배우 김수로를 광고에 등장시켜 ‘월드컵 응원 댄스=다음’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있다.
케이티에프(KTF)도 최초로 현역군인들의 춤을 선보인다. 이등병에서 병장까지 육군 백마부대 장병들이 구보 도중 갑자기 응원 댄스를 펼치는 것. 케이티에프 홍석범 커뮤니케이션팀장은 “월드컵 캠페인 키워드는 바로 ‘즐기자’는 것”이라며 “시간·장소에 상관없이 누구든지 동참할 수 있는 풀뿌리 응원 캠페인 분위기를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월드컵 응원문화의 하나로 자리잡은 춤에 기업 이미지를 불어넣어 ‘기업이 함께 한다’는 생각을 갖게 한다. 케이비(KB)국민은행은 춤 대신 체조를 택했다. ‘국민 여동생’ 문근영을 내세워 월드컵 응원에 필요한 체조를 선보이는 것. 자사 로고와 똑같은 색의 체육복을 입은 문근영으로 하여금 케이비국민은행과 끈을 잇게 한다. 향수를 자극한다=추억이 있기에 미래에 거는 기대가 커진다. 한-일월드컵 4강 신화에 대한 기억이 있기에 독일월드컵에 대한 희망이 커졌다. 롯데삼강의 ‘돼지바’ CF는 이를 잘 이용했다. 한국과 이탈리아전을 패러디한 광고에 중년 탤런트 임채무를 등장시켜 파안대소와 함께 돼지바를 인식시킨다. 순식간에 누리꾼들의 화제가 된 것은 당연지사. 하나금융그룹 역시 2002년 전세계가 대한민국에 열광했던 추억을 연상시킨다. ‘다시 한번 세계를 대한민국의 팬으로 만들자’는 문구를 통해 이번 독일월드컵에서 신화를 이룩해 다시 주목 받기를 기원한다. 자연스럽게 대한민국 대표 금융기업이라는 이미지를 갖게 한다. 이외에도 애국심, 태극기, 대한민국, 레드 등은 월드컵 마케팅에 예외가 될 수 없다. 에스케이텔레콤의 ‘이제는 대한민국이다’ 등을 비롯해 각 기업들이 한국인의 자긍심 고취와 함께 이를 마케팅으로 연결시키고 있다. 제일기획 김태해 광고기획국장은 “한-일월드컵이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한 경험으로 인해 많은 기업들이 월드컵을 이용한 마케팅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며 “당시 적극적이지 않던 기업들까지 참여해 월드컵 마케팅 열기를 더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당장의 매출 상승효과를 거두기보다는 월드컵·축구 등을 연상할 때 함께 떠오를 수 있도록 하는 기업홍보 차원에서 진행되는 것이 많다”고 덧붙였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
아드보·문근영 동원…꼭짓점 댄스…4강신화 향수 자극 이니셜로 통한다=삼성전자는 자사 제품인 ‘파브(PAVV)’의 V 두개와 거스 히딩크, 딕 아드보카트 감독을 연결해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첫 V는 히딩크의 ‘Victory 2002’를 뜻하고, 다음 V는 아드보카트의 ‘Victory 2006’을 의미한다. 애초 PAVV의 ‘Powerful Audio & Vast Vison’ 의미보다 월드컵이 더 강조되고 있다. 이런 양상은 자사 브랜드를 알리기 위한 중소기업에서도 나타난다. 휴대폰 제조업체인 VK의 경우 ‘빅토리 코리아’(Victory Korea)를 컨셉으로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최근 출시한 VK700C를 아예 ‘빅토리폰’으로 칭하며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펼치고 있다. 코원도 ‘코리아 원더풀’(Ccrea Wonderful)로 통하고 있다. ‘COREA WONDERFUL 2006’ 전용 이벤트 페이지를 별도 운용해 월드컵과 자사 브랜드를 연결시키고 있다. 춤으로 뜬다=월드컵 공식 응원춤으로 ‘꼭지점 댄스’가 뜨는 분위기다. 포털사이트 다음은 재빨리 관련 카페와 동영상을 만들어 자신의 것으로 취했다. 또 그 춤의 원조격인 영화배우 김수로를 광고에 등장시켜 ‘월드컵 응원 댄스=다음’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있다.
케이티에프(KTF)도 최초로 현역군인들의 춤을 선보인다. 이등병에서 병장까지 육군 백마부대 장병들이 구보 도중 갑자기 응원 댄스를 펼치는 것. 케이티에프 홍석범 커뮤니케이션팀장은 “월드컵 캠페인 키워드는 바로 ‘즐기자’는 것”이라며 “시간·장소에 상관없이 누구든지 동참할 수 있는 풀뿌리 응원 캠페인 분위기를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월드컵 응원문화의 하나로 자리잡은 춤에 기업 이미지를 불어넣어 ‘기업이 함께 한다’는 생각을 갖게 한다. 케이비(KB)국민은행은 춤 대신 체조를 택했다. ‘국민 여동생’ 문근영을 내세워 월드컵 응원에 필요한 체조를 선보이는 것. 자사 로고와 똑같은 색의 체육복을 입은 문근영으로 하여금 케이비국민은행과 끈을 잇게 한다. 향수를 자극한다=추억이 있기에 미래에 거는 기대가 커진다. 한-일월드컵 4강 신화에 대한 기억이 있기에 독일월드컵에 대한 희망이 커졌다. 롯데삼강의 ‘돼지바’ CF는 이를 잘 이용했다. 한국과 이탈리아전을 패러디한 광고에 중년 탤런트 임채무를 등장시켜 파안대소와 함께 돼지바를 인식시킨다. 순식간에 누리꾼들의 화제가 된 것은 당연지사. 하나금융그룹 역시 2002년 전세계가 대한민국에 열광했던 추억을 연상시킨다. ‘다시 한번 세계를 대한민국의 팬으로 만들자’는 문구를 통해 이번 독일월드컵에서 신화를 이룩해 다시 주목 받기를 기원한다. 자연스럽게 대한민국 대표 금융기업이라는 이미지를 갖게 한다. 이외에도 애국심, 태극기, 대한민국, 레드 등은 월드컵 마케팅에 예외가 될 수 없다. 에스케이텔레콤의 ‘이제는 대한민국이다’ 등을 비롯해 각 기업들이 한국인의 자긍심 고취와 함께 이를 마케팅으로 연결시키고 있다. 제일기획 김태해 광고기획국장은 “한-일월드컵이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한 경험으로 인해 많은 기업들이 월드컵을 이용한 마케팅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며 “당시 적극적이지 않던 기업들까지 참여해 월드컵 마케팅 열기를 더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당장의 매출 상승효과를 거두기보다는 월드컵·축구 등을 연상할 때 함께 떠오를 수 있도록 하는 기업홍보 차원에서 진행되는 것이 많다”고 덧붙였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