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태용 감독이 30일 천안종합운동장에서 열린 2017 국제축구연맹(FIFA) 20살 이하 월드컵 16강전 포르투갈의 경기에서 지시하고 있다. 천안/연합뉴스
혁신을 위한 창조적 파괴. 그 끝이 패배라도 좋다. 신태용 감독의 생각은 이렇지 않았을까?
신태용 감독이 이끄는 축구대표팀이 30일 열린 2017 국제축구연맹(FIFA) 20살 이하 월드컵 16강 포르투갈전 패배(1-3)로 멈춰섰다. 하지만 신태용 감독의 ‘이단아적 축구’는 강한 메시지를 남겼다. 김대길 해설위원은 “안방 대회여서 16강에서 진 것이 두고두고 아쉽다. 하지만 신태용 감독의 축구는 한국 축구의 방향에 대한 화두를 던졌다”고 표현했다.
‘여우’ 신태용 감독은 자신만만하다. 늘 긍정의 기운이 넘친다. 선수들한테도 전염돼 “승리의 정신”을 갖게 된다. 때로는 질책하지만 ‘끼’를 살려주는 강온 전략을 펴고, 선수를 고루 기용해 벤치에서부터 ‘하나된 팀’ 분위기를 만든다. 여기까지는 다른 지도자도 할 수 있다.
하지만 ‘공격축구’와 ‘패스축구’가 신념이 될 때는 다르다. “팬들한테 재미있는 축구를 보여드리겠다.” “우리선수들도 기술적으로 뛰어나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다.” “강팀이라도 대등하게 맞설 것이다.” 신태용 감독이 자주 얘기하는 말엔 전통적인 방식을 깨는 파격이 있다. 지도자의 관심이 승리에만 국한돼 있지 않고, 경기장 밖의 팬 만족도까지 닿아 있는 것이다. 승리와 패배가 동전의 양면이어서 어쩔 수 없이 받아들여야 한다면, 이왕이면 팬들이 좋아하는 축구를 하겠다는 판단이다.
신태용호가 20일 기니와의 개막전을 시작으로 열흘간 국내 축구팬들을 행복하게 만든 것이 그 사례다. 조별리그 2승으로 일찌감치 16강에 오른 것도 이전 대회와 다른 신선함이었다. 포르투갈에 패배했을 때도 천안운동장의 관중은 자리를 뜨지 않고 박수를 보냈다. 보통 20살 이하 월드컵은 축구팬에게 큰 대회는 아니다. 하지만 남은 월드컵 경기에도 팬들의 관심이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이 있다. 신태용호가 매력적인 축구로 팬을 몰입시킨 효과다.
물론 축구는 감독 마음대로 되는 것은 아니다. 16강전에서 매서운 맛을 보여준 포르투갈 선수 21명은 포르투, 벤피카, 스포르팅 브라가 등 자국의 명문팀 소속이다. 1군이 아니더라도 일찍부터 프로 경기를 소화하면서 경기 운영의 노하우를 익혔다. 운도 따랐다. 한국의 선수들은 10명이 프로이고, 11명이 대학 선수다. 프로 1군이라고 하지만 실제 경기에는 거의 못 뛴다. 대학 선수가 참가하는 유리그는 프로보다는 한 단계 아래다.
한 축구 전문가는 “K리그에서는 좀더 재미있는 축구로 팬에 호소해야 한다는 신 감독의 생각에 동의한다. 하지만 대표팀 축구에서는 과정보다 결과가 중요하다”고 했다. 수비에 좀더 신경을 써야 했다는 지적이다. 또 다양한 전술도 좋지만 4-4-2 전형이 선수들에게 익숙한 것 같지 않았다는 얘기도 나왔다.
하지만 공격축구의 매력은 강력하다. 이번 대회에는 유럽 구단 소속의 축구 스카우트 20~30명 이상이 왔다. 이들과 함께 움직이며 생활한 독일의 축구 에이전트 마쿠스 한은 “스카우트는 공격적인 성향의 선수들에게 관심을 갖는다. 유럽의 스카우트가 신태용 감독의 공격축구에 강한 인상을 받았다”고 전했다. 한국의 축구문화가 공격적인 축구에 맞는다는 진단도 있다.
김대길 해설위원은 “신태용 감독이 확신에 차고 자신감이 있는 것은 좋다. 하지만 자신을 좀 더 객관화시키기 위해서는 2%를 보강해야 한다. 세계적 트랜드가 공격축구이고, 국내축구 부활을 위해서도 공격적인 마인드로 선수를 키우고 팀 색깔을 만들어가야 하는 점은 공감한다”고 했다.
김창금 기자
kimc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