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스포츠 스포츠일반

신기록 봇물, 수영복의 힘?

등록 2008-08-13 21:20수정 2008-08-13 22:04

‘레이서’ 입고 기록경신
“기술적 약물복용” 비판
지난 11일 4x200m 자유형 릴레이에서 마이클 펠프스(23·미국)를 비롯한 미국팀이 세계 신기록을 무려 4초 가까이 앞당기며 금메달을 가져가자 독일 수영 코치 오르얀 마드센은 이렇게 말했다. “세계 기록을 3초 이상 줄인다는 것은 세계 최고스타 4명이 선수로 나서 모두 최고의 기량을 보였을 때나 나올 법한 일이다.” 미국 선수들은 모두 영국의 스포츠의류 제조업체 스피도의 새 수영복 ‘레이저 레이서’를 입고 경기에 출전했다.

<뉴욕타임스>는 이번 올림픽 수영의 놀라운 기록 경신이 인간의 능력 향상보다는 수영복에 힘입은 바가 크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고 12일 전했다. 이번 올림픽에선 첫 사흘 동안 이미 세계 신기록이 8번 뒤바뀌어 2004년 아테네 올림픽의 전체 신기록을 따라잡았다. 다수의 기록은 레이서 수영복을 입은 선수들이 달성한 것이고, 기록갱신의 폭도 컸다.

스피도 경쟁사의 수영복을 입고 출전한 이탈리아팀의 수영 코치 알베르토 카스타냐티는 새 수영복에 대해 ‘기술적인 약물복용’이라고 비판했다. 몇몇 수영 관계자들은 새 수영복이 선수의 부력을 돕기 때문에 국제수영연맹(FINA)의 수영복에 대한 제한 규칙을 위반하고 있다고 말한다. 이들은 새 수영복이 선수의 기량을 최대 2%까지 향상시키는데, 이와 같은 경기력 향상을 배제하고 보면 여러 금메달의 주인이 바뀌리라는 주장이다. 그러나 기록의 단축은 선수층의 확대, 훈련법의 향상 등 기술과 함께 이뤄지는 현상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레이서 수영복을 입고 세계 신기록을 세운 짐바브웨의 커스티 커번트리 선수는 “스포츠는 기술과 함께 가는 것”이며 “이 수영복은 나에게 심리적인 안정을 준다”고 말했다. 미국 수영팀의 스포츠과학 책임자 제너디주스 소컬로버스는 “70, 80, 90년대와 현재의 기록을 분석해서 수영복, 기술, 훈련 가운데 무엇이 기록 단축을 가져왔는지 구분하기 어렵다”며 “어떤 종목에도 기술이 스포츠에 개입하는 것을 막을 방법은 없다”고 말했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스포츠 많이 보는 기사

여자국수 김채영 9단, 박하민 9단과 결혼…12번째 프로기사 부부 1.

여자국수 김채영 9단, 박하민 9단과 결혼…12번째 프로기사 부부

파리 생제르맹·레알 마드리드, 챔피언스리그 PO 1차전 승리 2.

파리 생제르맹·레알 마드리드, 챔피언스리그 PO 1차전 승리

아깝게 메달 놓쳤지만…37살 이승훈, 역시 ‘한국 빙속 대들보’ 3.

아깝게 메달 놓쳤지만…37살 이승훈, 역시 ‘한국 빙속 대들보’

최성원과 차유람 앞세운 휴온스, 팀 리그 PO 기적의 막차 탈까? 4.

최성원과 차유람 앞세운 휴온스, 팀 리그 PO 기적의 막차 탈까?

한국 여자컬링, 일본 ‘완벽봉쇄’…2연승으로 1위 순항 5.

한국 여자컬링, 일본 ‘완벽봉쇄’…2연승으로 1위 순항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