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겨울올림픽 도전]
산업연 23만명 고용창출 전망
밴쿠버·나가노 ‘타산지석’을
산업연 23만명 고용창출 전망
밴쿠버·나가노 ‘타산지석’을
유치효과 얼마나 될까
2018년 겨울올림픽을 평창이 유치한다면 경제·사회적 효과는 얼마나 될까. 평창유치위원회는 올림픽이 세계가 주목하는 대형 이벤트인 만큼 유·무형의 다양한 파급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산업연구원이 유치위원회의 의뢰를 받아 조사한 결과를 보면, 겨울올림픽 유치에 따른 총생산액 유발효과는 무려 20조4973억원, 부가가치 유발액만도 8조7546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원주~강릉간 복선전철 등 기간교통망 구축에 따른 기업유치 효과와 함께 강원도 12만여명을 포함해 23만여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분석됐다. 조직위는 또 간접효과로 △관광산업 발전 촉진 및 인프라의 선진화 △휴양·레포츠산업 발전 △컨벤션·이벤트산업 발전 △지역 브랜드 제고와 민간투자 촉진 △폐막 뒤 시설 활용을 통한 4계절 관광자원화 등을 기대했다. 사회적인 효과로는 △국가 및 지역 이미지 제고 △남북한 긴장 완화 등이 꼽힌다.
과거 겨울올림픽 개최지의 변화도 ‘평창의 꿈’을 부풀리고 있다. 미국 동북부의 작은 시골 마을에 지나지 않았던 레이크플래시드는 겨울올림픽을 두 차례(1932·1980년) 개최하면서 부자 도시로 탈바꿈했다. 연간 관광객 200만명이 찾는 세계적인 스포츠 휴양도시가 된 것이다. 1994년 개최지인 노르웨이 릴레함메르는 당시 인구 2만명이 조금 넘는 두메산골이었지만 4000억원 이상의 흑자를 기록했고, 올림픽 이후 세계적인 관광지가 됐다. 2006년 겨울올림픽을 개최한 이탈리아 토리노도 올림픽 개최 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 이탈리아 토리노산업연맹 자료를 보면, 2006년 겨울올림픽 개최로 2005~2009년 이탈리아 국내총생산과 고용이 연평균 0.2% 증가했다.
그러나 ‘적자 올림픽’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다. 올림픽은 단순히 돈으로 환산하기 어려운 무형의 경제효과가 있지만, 갈수록 올림픽 개최지들의 적자 폭이 커지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는 지적이다. 1998년 나가노 겨울올림픽조직위는 대회를 마친 뒤 2800만달러(312억여원) 흑자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수십억달러 적자라는 주장이 나와 논란이 일었고, 1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재정난에 허덕이며 사실로 입증되고 있다. 2010년 개최지 밴쿠버는 준비 과정에서부터 예산 부족으로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지원을 받더니 결국 적게는 50억달러에서 많게는 100억달러 적자가 난 것으로 알려졌다.
김동훈 기자 can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