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향숙 국제장애인올림픽위원회(IPC) 집행위원(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
총회 다녀온 장향숙 위원 쓴소리
‘평창조직위 구성때 제외’ 요구도
“독점 욕심에 수익금 배분도 통제”
‘평창조직위 구성때 제외’ 요구도
“독점 욕심에 수익금 배분도 통제”
“이러다간 2018년 평창 장애인올림픽(패럴림픽)은 없습니다.”
장향숙(사진) 국제장애인올림픽위원회(IPC) 집행위원(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이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급속한 상업주의에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최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국제장애인올림픽위 총회에 다녀온 그는 8일 “장애인올림픽이 성장하니까 국제올림픽위가 패럴림픽의 지적소유권까지 자신들이 갖겠다고 주장하고 나섰다”며 “국제장애인올림픽위 집행위원들은 이에 공동 대응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밝혔다.
장 위원은 “런던올림픽이 끝난 뒤 아이오시가 아이피시에 700만달러(75억여원)를 배분하기로 했는데 이제와서 200만달러(21억여원) 이상을 줄 수 없다고 하고 있다”며 “아이오시가 아이피시의 올림픽 스폰서와 수익금 배분 등을 일일이 통제하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평창이 겨울올림픽 개최지로 확정된 남아공 더반 총회 때의 비화도 공개했다. 그는 “투표 전날 아이오시 관계자가 필립 크레이븐 아이피시 위원장에게 ‘이번에 확정되는 겨울올림픽 개최지에서 반드시 패럴림픽을 개최할 의무가 없다’고 협박했다”고 말했다. 아이오시는 또 평창이 개최지로 확정된 뒤에는 평창 올림픽조직위에서 ‘패럴림픽’을 뺄 것도 요구했다고 그는 전했다.
장 위원은 “이는 장애인 스포츠에 대한 배신 행위이자 패럴림픽의 역사와 명예를 모욕하는 행위”라며 “아이피시는 패럴림픽의 미래와 운명을 건 싸움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장 위원은 “평창이 앞으로 조직위를 구성할 때 애초 계획과 관례대로 반드시 패럴림픽 조직을 포함해야 하며 상업주의에 물든 아이오시에 놀아나선 안된다”고 경고했다.
장 위원은 2009년 11월, 말레이시아 총회 때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4년 임기의 국제장애인올림픽위 선출직 집행위원에 당선됐다. 김동훈 기자 can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