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스포츠 스포츠일반

“형은 내 롤모델” “첫 만남 밤새 수다”

등록 2013-05-09 19:39수정 2013-05-10 07:50

모비스의 양동근(왼쪽)과 에스케이 김선형은 한국 최고의 포인트가드이자 라이벌이다. 지난달 25일 서울 건국대 새천년관 앞에서 정장 차림을 한 둘이 농구공을 잡으려 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모비스의 양동근(왼쪽)과 에스케이 김선형은 한국 최고의 포인트가드이자 라이벌이다. 지난달 25일 서울 건국대 새천년관 앞에서 정장 차림을 한 둘이 농구공을 잡으려 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SK 김선형-모비스 양동근
연습벌레에 승부욕 닮은꼴
“동근형 따라하며 배웠죠”
“선형이 막을 사람 없을 것”
“다음 시즌 절대 봐주지 않겠다.”

코트 위 승부사들의 각오가 대단하다.

2012~2013 프로농구 챔피언결정전에서 우승과 준우승을 한 모비스와 에스케이(SK)의 대표 가드 양동근(32)과 김선형(25)이 “통합 우승”을 목표로 벌써 다음 시즌 준비에 들어갔다. 코트 밖에선 친형제 이상이지만, 코트 안에선 승부욕을 자극하는 라이벌이다.

김선형은 의욕이 더 넘친다. 정규리그 1위로 챔프전에 올라가 모비스에 내리 4연패당한 아쉬움을 반드시 덜겠다는 목표다. 양동근을 뛰어넘어 최고의 가드가 되겠다는 욕심도 숨기지 않는다. 자신도 있다. “최근 훈련을 시작했는데, 첫 연습을 마치고 숙소에 들어갔더니 너무 흥분되는 거예요. 포인트 가드로서 타이밍을 잘 못 잡고, 공격 루트가 단순했던 단점만 보완하면 더 잘할 수 있겠다는 기대감이 생겨요.” 빨리 다음 시즌이 됐으면 좋겠다는 동생을 바라보던 양동근은 “하긴 속공 능력이 좋으니 슛 성공률을 높이면 다음 시즌 김선형을 막을 자는 없을 것 같다”며 고개를 끄덕인다. 그러면서도 “나에 대한 도전은 거부하겠다(웃음)”며 경계를 늦추지 않는다.

프로 2년차와 10년차. 신구를 대표하는 두 가드의 아름다운 경쟁은 지난 시즌 화제였다. “롤모델”인 양동근을 보며 프로의 꿈을 키운 김선형이 정규리그 최우수선수상까지 받은 스타 가드가 되어 맞대결하는 모습 자체가 또 하나의 드라마였다.

둘의 인연은 꽤 깊다. 2010년 처음 만난 뒤 2011년 아시아선수권대회 대표팀에서 한방을 쓰며 친해진 뒤 둘도 없는 사이가 됐다. 연습벌레에 승부욕, 강한 정신력이 비슷해서 잘 통했다고 한다. “처음부터 선형에게 왠지 마음이 쓰였어요.”(양) “말 많은 것도 닮았고. 밤새 수다 떨었죠.”(김)

라이벌은 서로를 성장케 하는 힘이다. 김선형의 성장엔 양동근의 활약이 한몫했다. 김선형은 올 시즌 처음으로 포인트 가드를 맡고 양동근의 경기를 챙겨 봤다고 한다. “형 동영상을 찾아보며 따라하려고 노력했어요. 특히 풀업점프슛. 드리블하다가 갑자기 팡 떠서 슛~. 아무리 연습해도 잘 안돼 시합 때 시도는 못 해봤지만. 형에게 늘 배웠어요. 아시안게임 대표팀 때도 혼자 야간 드리블 연습하고 있으면 형이 같이 와서 슈팅도 잡아주고.”(김) 양동근은 “선형은 가드로서 속공 처리 능력이 좋다. 팀을 신바람 나게 이끄는 능력도 훌륭하다”며 부쩍 자란 동생이 대견한 듯 아빠 미소다.

둘 다 고생 한번 안 해본 것 같은 외모지만, 어려운 환경을 겪었다. “대학 졸업 때까지 지하방에 살았어요. 프로 오면서 빚도 갚도 집도 이번에 사드렸죠.”(양) “저도 네 식구가 목사인 아버지 월급 150만원으로 생활했어요. 월급의 70~80%가 60만~70만원인 농구 회비로 나갔어요. 빚이 점점 느는데, 부모님께 죄송했죠.”(김) 그러면서도 “코트에 서면 늘 설레고 즐거웠다”고 한다.

양동근은 더 훌륭한 가드가 되려면 멘털을 다스릴 줄 알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가드는 경기가 안 풀리면 내 탓을 하게 돼요. 그걸 잘 이겨내지 않으면 흔들리게 되죠. 선형이 그런 점을 염두에 두면 좋겠어요.” 김선형도 “힘든 순간이 닥쳐도 이겨낼 수 있는 정신력은 최고”라고 자신한다. 돌발 상황에 대비해야 하는 가드의 숙명은 준비하는 삶의 자세로 번진다. 양동근은 “운동선수는 내일 당장 은퇴한다는 마음으로 준비하며 살아야 한다. 은퇴 뒤 지도자가 되려고 평소 감독님 말씀을 놓치지 않고 메모하고 책도 읽는다”고 했다. 그런 형의 모습에 동생은 또 감탄한다.

챔프전에서 진 어느날 밤 김선형은 양동근에게 전화를 걸었다고 한다. “형도 이런 기분이었어?”라고 묻는 성장통을 앓는 동생에게 형은 “모든 짐을 혼자 지려고 하지 마라”고 조언했다고 한다. 이 말도 잊지 않았다. “그래도 우승은 모비스가 할 거야.” 동생도 지지 않았다. “끝까지 가봐야 아는 거죠.”

남지은 기자 myviolle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스포츠 많이 보는 기사

여자국수 김채영 9단, 박하민 9단과 결혼…12번째 프로기사 부부 1.

여자국수 김채영 9단, 박하민 9단과 결혼…12번째 프로기사 부부

파리 생제르맹·레알 마드리드, 챔피언스리그 PO 1차전 승리 2.

파리 생제르맹·레알 마드리드, 챔피언스리그 PO 1차전 승리

아깝게 메달 놓쳤지만…37살 이승훈, 역시 ‘한국 빙속 대들보’ 3.

아깝게 메달 놓쳤지만…37살 이승훈, 역시 ‘한국 빙속 대들보’

최성원과 차유람 앞세운 휴온스, 팀 리그 PO 기적의 막차 탈까? 4.

최성원과 차유람 앞세운 휴온스, 팀 리그 PO 기적의 막차 탈까?

한국 여자컬링, 일본 ‘완벽봉쇄’…2연승으로 1위 순항 5.

한국 여자컬링, 일본 ‘완벽봉쇄’…2연승으로 1위 순항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