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겨울올림픽 혈세 낭비와 환경 파괴 중단을 촉구하는 강원지역시민사회단체는 2일 오전 강원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뜻을 함께하는 강원도민 2018명과 함께 국제올림픽위원회를 상대로 직접 평창올림픽 분산개최를 위한 청원운동을 펴겠다”고 밝혔다. 춘천/박수혁 기자
강원지역 시민단체들 운동 펴기로
2018 평창겨울올림픽 분산개최를 둘러싼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강원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직접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분산개최 등을 요구하는 청원운동을 펴기로 했다.
‘평창겨울올림픽 혈세 낭비와 환경파괴 중단을 촉구하는 강원지역시민사회단체’는 2일 오전 강원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뜻을 함께하는 강원도민 2018명과 함께 국제올림픽위원회를 상대로 직접 평창올림픽 분산개최를 위한 청원운동을 펴겠다”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강원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강원지부, 민주노총 강원지역본부 등 강원지역 30여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했다.
이들은 정부에도 “대규모 국제스포츠 행사를 무분별하게 유치해 세금을 낭비하는 악순환을 끊기 위해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유성철 강원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사무처장은 “강원도와 조직위는 분산개최를 하기엔 경기장 건설 등에 필요한 시간이 부족하다고 핑계를 대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요구하는 분산개최는 장소만 옮겨 다른 곳에 똑같은 경기장을 짓자는 것이 아니다. 예산 절감과 사후활용 방안 극대화를 위해 기존 시설을 적극 활용할 방안을 찾자는 것이다. 강원도와 조직위가 결단을 내리면 분산개최 카드를 꺼내든 바 있는 국제올림픽위원회도 적극 수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원만 전교조 강원지부장도 “올림픽 뒤 남게 될 부채와 경기장은 강원도 재정에 큰 부담이 되고 결국은 강원도민들의 희생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 국제올림픽위원회와 분산개최를 구체적으로 협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녹색연합, 문화연대, 스포츠문화연구소, 체육시민연대 등 환경·스포츠 시민단체도 이날 서울 중구 정동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평창겨울올림픽 분산개최 추진을 위한 토론회’를 열었다. 발제자로 나선 고광헌 한림대 교수는 “국제올림픽위원회가 제안한 ‘어젠다 2020’은 올림픽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아이오시의 혁신안으로 우리가 못할 이유가 없다. 정부가 단독 개최를 고수하는 데서 전향적으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희준 동아대 교수는 “평창조직위에서는 시간이 없다고 주장하지만, 6개월 안에 논의를 매듭짓고 결정하면 된다. 분산개최는 우리한테 실보다 득이 많다”고 강조했다.
춘천/박수혁 기자, 김창금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