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환 한국권투위원회 회장은 20일 기자회견을 열어 짐체된 복싱을 살리기 위해서는 프로복싱 스타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겨레 자료사진.
홍수환(66) 한국권투위원회(KBC) 회장은 한국 복싱의 위기는 프로 복싱의 위기에서 비롯됐다고 진단하면서 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홍 회장은 20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국 복싱이 올림픽 명맥이 끊어질 뻔한 위기까지 처했다”며 “하지만 복싱 스타가 한명만 나와도 복싱은 부활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 8월 리우올림픽에 단 1체급도 출전하지 못할 위기에 처했으나 남자 56㎏급에서 뜻밖에 출전 포기자가 발생하면서 함상명(21)이 출전 기회를 얻어 간신히 연속 출장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4전5기 세계챔피언’의 주인공인 홍수환 회장은 “요즘 아마추어 복싱 선수 중에서 프로가 되려는 선수가 없다”며 “국내 대회에서 돌아가면서 우승하면 4~5000만원의 연봉을 받는 데 굳이 프로로 전향할 이유가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우물 안 개구리에 머물면서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는 지적이다.
홍 회장은 그러나 침체한 프로 복싱의 붐을 불러일으키려 해도 예산이 없어서 여의치 않다고 하소연했다. 지금 프로복싱 경기를 하려면 장소를 구하는 것은 물론 방송 중계를 성사시키는 것도 쉽지 않다. 그는 "이제는 복싱도 아마추어와 프로의 경계가 사라졌는데 프로라고 국가의 보조금을 못 받을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홍 회장은 "프로복싱도 대한복싱협회와 통합을 하든 대한체육회 산하 가맹단체로 인정을 받든 해서 정부의 지원을 받아야 한다”며 “프로선수가 올림픽에 출전하는 마당에 더 이상의 구별은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4개 기구로 쪼개진 프로복싱 집행기구의 통합도 어렵지 않다면서 자신은 언제든지 한국권투위원회 회장 자리를 내려놓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찬영 기자
lcy100@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