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범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위원장이 17일 기자회견에서 올림픽 준비 상황을 얘기하고 있다.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 제공
“강릉 스케이팅장 사후활용은 계속 노력하고 있다.”
이희범 2018 평창겨울올림픽 조직위원장이 17일 강원도 평창군 고려궁 한옥호텔에서 2017년 새해 기자간담회를 열어 올림픽 시설 사후활용에 대해 계속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12개의 올림픽 시설 가운데 강릉빙상장 등 2개는 사후활용 주체를 찾지 못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정부, 조직위 등이 주인을 찾는 방안을 살피고 있다. 올림픽 개최 이전에 결론을 내리겠다”고 했다.
400m 트랙으로 이뤄진 강릉빙상장은 애초 올림픽 뒤 해체로 설계됐으나, 김종 전 문체부 2차관이 존치로 방향을 수정하면서 문제로 떠올랐다. 그러나 1300억원의 시설을 유지하는 연간 비용은 20억원이 넘는다. 올림픽 뒤 강릉시가 떠맡을 경우 사실상 대책이 없다. 김종 전 차관의 유산을 떠안은 문체부 고위 관계자도 “해법을 찾기 어렵다”며 난제로 인식하고 있다. 빙상팀과 빙상인구가 수도권에 집중된 상태에서 강릉을 빙상선수촌으로 개발한다는 구상도 설득력이 떨어진다. 이희범 위원장은 “아이오시도 (돈만 많이 들고 쓸모 없는) 화이트 엘리펀트(하얀 코끼리)가 되지 않도록 하는 데 신경을 쓰고 있다. 우리도 활용 방안을 더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희범 위원장은 평창겨울올림픽이 일본의 도쿄올림픽(2020년), 중국의 베이징겨울올림픽(2022년) 등과 자존심 싸움을 벌이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 위원장은 “올림픽 붐이 일어나지 않는 것은 최순실 게이트 등 최근의 정치 상황과 연관이 있다. 하지만 앞으로 1년여밖에 남지 않았다. 올림픽의 장소만 평창일 뿐이지 대한민국의 행사라는 생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경기 운영 등 전문성이 필요한 자리에는 공모를 통해 인재를 충원할 것이다. 또 대회 뒤에도 관련 일에 종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 위원장은 “현재 800명인 상근 인력은 소치 때의 절반 수준으로 최소 400명을 더 늘려야 한다. 조양호 전 위원장이 사퇴했지만 대한항공 직원 50명이 여전히 남아서 조직위 일에 전념하는 것에 감사하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겨울올림픽 시설 사후활용과 관련해 최순실씨 쪽의 먹잇감이 됐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겨울올림픽 예산 13조원 가운데 11조원은 고속철도, 고속도로 등 건설 인프라 예산이다. 그 외 지금까지 이뤄진 계약은 대부분 조달청을 통했다. 비리로 이뤄진 계약은 전혀 없다”고 했다. 이 위원장은 조직위 예상 지출액(2조8000억원)보다 수입(2조4000억원)이 적은 상황과 관련해, “조직위가 스폰서 목표액을 채우도록 노력하겠지만, 올림픽 종목 확대 등으로 인한 비용 증가 부분은 정부가 도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평창/김창금 기자
kimc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