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스포츠 스포츠일반

[단독] 강릉스피드스케이팅장 냉동창고로 사후활용?

등록 2017-02-15 18:01수정 2017-02-15 20:09

유진기업 “초저온·친환경 냉동창고” 제안
동해안 벨트 어자원 수도권 신선공급 용이
강원도 유력한 대안으로 깊게 고민 중
지난 12일 오후 강원도 강릉스피드스케이팅경기장에서 2018 평창겨울올림픽 테스트이벤트로 열린 2017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종목별 세계선수권대회 여자 매스스타트에서 선수들이 레이스를 펼치고 있다. 강릉스피드스케이팅경기장은 올림픽 이후 존치 문제가 화두로 남아 있다. 강릉/연합뉴스
지난 12일 오후 강원도 강릉스피드스케이팅경기장에서 2018 평창겨울올림픽 테스트이벤트로 열린 2017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종목별 세계선수권대회 여자 매스스타트에서 선수들이 레이스를 펼치고 있다. 강릉스피드스케이팅경기장은 올림픽 이후 존치 문제가 화두로 남아 있다. 강릉/연합뉴스
2018 평창겨울올림픽의 사후활용 최대 난제였던 강릉스피드스케이팅장의 활용법이 나왔다.

강원도청 관계자는 15일 “국내 물류단지 조성 전문업체인 유진초저온㈜이 스피드스케이팅장을 냉동창고로 바꾸는 사후활용 방안을 최근 도에 접수했다”고 밝혔다. 강원도는 유진초저온이 제출한 사후활용 계획의 타당성과 경제성을 깊이 있게 평가하고 있는데, 채택이 유력해 보인다. 강원도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협의를 거쳐 최종 결론을 낼 예정이다.

강릉스피드스케이팅장은 400m 트랙을 갖춘 지상 3층, 지하 2층의 대형 경기장이다. 좌석은 8천석이며 1300여억원의 공사비가 투입됐다. 애초 올림픽 경기를 치른 뒤 해체하기로 했지만 김종 전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이 존치로 방향을 돌리면서 재설계해 완공을 앞두고 있다.

그러나 다른 신설 경기장과 달리 뚜렷한 사후활용 방안을 찾지 못했다. 스케이팅장으로 활용할 경우 연간 유지관리비는 30억원가량 들어간다. 하지만 20여만명의 강릉시 인구 규모로 볼 때 시장성은 크게 떨어진다. 2015년 한국스포츠개발원의 연구용역 설문을 보면 국내 빙상팀들의 90%는 강릉스피드스케이팅장이 올림픽 뒤 국가대표 훈련장으로 바뀌어도 강릉으로 전지훈련을 가지 않겠다고 응답한 바 있다. 서울 태릉의 스피드스케이팅장은 수도권에 밀집한 빙상팀의 메카로, 강원도 춘천 등지의 빙상팀도 강릉보다는 서울을 선호하는 게 현실이다. 가뜩이나 강원도 강릉시의 재정 여건을 살피면 스피드스케이팅장의 사후활용 문제는 올림픽 이후의 최대 난제였다.

유진초저온 쪽은 “아직 최종 결정이 나지 않았다”며 조심스러워하고 있다. 하지만 이미 보냉 자재가 들어간 스피드스케이팅장을 냉동창고로 개조할 경우 여러 가지 이점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유진초저온 쪽은 “속초부터 동해까지 강원도 동해안 벨트에서 잡힌 주요 어획물이 대부분이 냉동이나 가공처리를 위해 부산의 감천항으로 옮겨지고 있다. 강릉에 냉동창고가 있으면 수도권으로 직송해 물류비를 줄이면서 수산물의 신선도를 높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유진초저온이 구상하는 냉동창고는 또 에너지를 거의 소비하지 않는다. 유진초저온 관계자는 “탱크로리에 실린 영하 162도의 액화천연가스(LNG)의 찬 기운으로 냉매를 차갑게 하는 기술을 갖고 있다. 기체 상태의 가스는 일반 가정에 공급하면 된다”고 말했다. 냉동창고를 운영할 경우 일자리 창출이나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게 유진초저온 쪽의 설명이다.

강원도와 문체부는 애초 강릉에 존속시킬 올림픽 시설로 피겨·쇼트트랙이 열리는 아이스아레나를 염두에 두었다. 이런 까닭에 ‘하얀 코끼리’처럼 처리 곤란한 스피드스케이팅장을 다른 용도로 해소해도 문제는 없다. 2014 소치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장은 현재 전시장으로 사용되고 있고, 2010 밴쿠버올림픽 스케이팅장은 다목적체육관으로 바뀌었다. 2006 토리노올림픽 스케이팅장도 달리 이용되는 등 나라별 특성에 맞게 대응하고 있다. 반면 2002 솔트레이크시티나 1998 나가노올림픽 스케이팅장은 그대로 운영되고 있다.

한 빙상인은 “애초 해체하기로 했다가 존치로 바꾸는 정책 결정의 실패가 문제를 키워왔다. 지금이라도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해법이 있다면 실사구시 정신으로 접근해야 한다. 올림픽 유산은 아이스아레나를 빙상장 원형 그대로 유지한 채 존속시켜도 크게 흠결이 없다”고 강조했다.

김창금 기자 kim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스포츠 많이 보는 기사

여자국수 김채영 9단, 박하민 9단과 결혼…12번째 프로기사 부부 1.

여자국수 김채영 9단, 박하민 9단과 결혼…12번째 프로기사 부부

파리 생제르맹·레알 마드리드, 챔피언스리그 PO 1차전 승리 2.

파리 생제르맹·레알 마드리드, 챔피언스리그 PO 1차전 승리

아깝게 메달 놓쳤지만…37살 이승훈, 역시 ‘한국 빙속 대들보’ 3.

아깝게 메달 놓쳤지만…37살 이승훈, 역시 ‘한국 빙속 대들보’

최성원과 차유람 앞세운 휴온스, 팀 리그 PO 기적의 막차 탈까? 4.

최성원과 차유람 앞세운 휴온스, 팀 리그 PO 기적의 막차 탈까?

한국 여자컬링, 일본 ‘완벽봉쇄’…2연승으로 1위 순항 5.

한국 여자컬링, 일본 ‘완벽봉쇄’…2연승으로 1위 순항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