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러시아 스키 크로스컨트리 선수 4명에게 도핑 위반으로 올림픽 출전금지 징계를 내렸다. 이번 달에만 6명이 도핑 징계를 받았다. 외신은 국제올림픽위원회가 12월 초 집행위원회에서 러시아의 평창올림픽 출전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제올림픽위원회는 9일(현지시각) 2014 소치올림픽에서 도핑 규정을 위반한 막심 빌레그자닌 등 4명에게 올림픽 경기 출전 금지 징계를 내렸다고 밝혔다. 지난주 소치올림픽 금메달리트스트인 크로스컨트리 선수 알렉산더 레그코프 등 2명에게 내린 영구자격정지까지 합치면 6명이 징계를 받은 셈이다. 이들이 소치올림픽에서 따낸 금메달 1개와 은메달 3개는 박탈됐다. 러시아는 소치올림픽에서 금메달 13개를 따내 11개의 노르웨이를 제치고 메달 순위 1위에 올랐으나 이번에 1개를 박탈당하면서 금메달 수가 12개로 줄었다. 피겨 여자 싱글에서 김연아를 제치고 금메달을 따낸 아델리나 소트니코바는 이번 도핑 논란에서 벗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가 국가 주도의 도핑 조작을 일삼았다는 의혹은 지난해 7월 불거졌고, 리우 올림픽에서는 육상과 역도에서 러시아 선수들의 출전이 금지됐다. 리우 패럴림픽에서는 러시아 선수들의 출전이 전면 금지됐다. <로이터>는 “아이오시가 12월 5일부터 사흘간 열리는 집행위원회에서 러시아의 평창올림픽 참가 등에 대한 안건을 논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세계반도핑기구(WADA) 역시 16일 서울에서 집행위원회를 열고 러시아 도핑 스캔들을 집중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하지만 러시아가 아이오시의 징계를 순순히 받아들일지는 의문이다. <이에스피엔>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이번 아이오시 징계에 이의를 제기했다. 러시아 정부는 어떤 도핑 조작에도 관여하거나 지원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고 보도했다. 겨울 스포츠 강국인 러시아가 만일 평창올림픽 출전금지 징계를 받게 되면 평창올림픽 흥행에는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될 가능성이 있다.
김창금 기자
kimck@hani.co.kr 사진 아이오시 화면 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