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민규가 지난달 19일 강릉 스피드스케이트 경기장에서 열린 평창올림픽 남자 500m에서 은메달을 딴 뒤 관중에게 인사하고 있다. 강릉/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27일 국회에서 열린 평창겨울올림픽 지원 특별위원회(황영철 위원장) 마지막 회의는 6년여 특위 활동을 마무리 짓는 행사치고는 아쉬움이 남았다. 역대 겨울올림픽 최다메달(17개), 다양한 종목의 인기몰이 등을 자화자찬하고 회의장에 나온 원윤종 선수에 대한 꽃다발 증정까지 화기애애한 분위기가 이어졌다. 하지만 평창올림픽 성공 여부의 마침표가 될 시설 사후활용 방안에 대한 결론은 나오지 않았다.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사후 관리주체가 정해지지 않은 스피드스케이팅장, 하키센터, 슬라이딩센터 등 3개 시설에 대해 큰 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지원을 위해서는 기준과 원칙을 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연구 용역을 줘야 하므로 몇 개월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반면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빨리 결정해야 한다. 느슨하면 앞으로 책임소재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여름에 산사태가 날 수도 있다. 슬라이딩센터에는 암모니아 가스를 관리해야 하는 고난도 기술이 필요한데, 직원들이 불안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 입장에서는 평창올림픽 시설의 관리 등을 지원할 경우, 앞으로 다른 지자체가 비슷한 이유로 손을 벌릴 수 있는 점을 걱정한다. 이에 대해 강원도는 겨울올림픽 시설이 여름올림픽 시설과 달리 특수한 형태의 ‘국가시설’인 측면을 고려해 달라는 입장이다. 강원도는 “예상 적자의 45%를 도가, 나머지 55%를 정부가 보전하는 안”을 제시했다.
3개 시설의 연간 관리비는 가동 일수 등에 따라 80억~100억원이라는 추산이 나온다. 겨울에는 본래의 기능을 살리고, 여름에는 공연이나 체험장으로 활용해 20억원 이상의 수입을 올릴 수는 있다.
평창올림픽 시설 사후활용은 후보 도시 신청 때 이미 결정돼야 했다. 하지만 분산개최 거부, 스피드스케이팅과 개폐회식장 철거 원안 번복 등 과거 정부의 실책으로 현 정부가 덤터기를 쓴 측면이 있다. 그런데도 충분히 예견된 상황인 점을 고려하면, 올림픽이 사실상 마무리된 시점에서도 여전히 “연구 중”이라고 말한다면 지나치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도 이해하기 힘든 처사다.
황영철(자유한국당) 위원장은 이날 도종환 장관한테 “서둘러야 한다. 3개월 안에 연구 용역을 끝내라”고 못 박았다. 3개월 뒤에 어떤 결론이 나올지는 모른다. 분명한 것은 아직 평창올림픽 성공을 자화자찬할 때는 아니라는 점이다.
김창금 기자
kimc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