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가 남북 평화 올림픽의 대의에는 공감할 것이다. 하지만 표 대결은 또 다르다.”
2032 남북 공동올림픽을 성사시키려면 넘어야 할 관문이 적지 않다. 박건만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전문위원은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이 평창올림픽의 성공을 위해 애썼고, 2032 남북 공동올림픽에도 관심을 보이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경쟁국들이 즐비한 가운데 아이오시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치밀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32 올림픽 개최지는 2025년 아이오시 총회에서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 통상 아이오시는 올림픽 개최 7년 전에 장소를 선정한다. 2017년 총회에서는 두 개의 올림픽 개최지(2024 파리, 2028 로스앤젤레스)를 한꺼번에 결정했다. 매력적인 도시를 놓치고 싶지 않은 아이오시의 욕심이 발동했는데, 예외적인 조처여서 말도 많았다. 한국 정부는 2020년이나 2021년 총회에서 2032 올림픽 개최지 결정이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을 갖고 있다. 하지만 2030년 겨울올림픽(2023년 결정)도 정하지 않은 상태다.
2025년 아이오시 총회에서 2032 올림픽 개최권을 따오기 위해서는 평화 올림픽을 강조하는 ‘코리아팀 세일즈’가 이뤄져야 한다. 현재 2032 올림픽 개최에 관심을 표명한 나라는 인도, 인도네시아, 오스트레일리아(호주), 독일, 중국이다. 여기에 아르헨티나가 가세할 수도 있다. 또 북한 장웅 위원의 퇴임으로 남북의 아이오시 위원은 유승민 한 명인 상태에서 평화 올림픽 개최라는 당위성만 가지고는 한계가 있다. 적극적인 홍보와 함께 올림픽 분산개최를 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갖추고 전 종목에서 남북 단일팀이 출전할 수 있다는 믿음을 주어야 한다.
2023년에 제출하게 될 올림픽 유치신청서는 내용을 알차게 꾸려야 한다. 늦어도 2021년에는 남북공동위원장 체제의 유치위원회가 구성돼야 한다. 유치위원회는 경기장 시설, 숙박 능력, 수송 계획, 개최 종목의 남북 배분, 개·폐회식 행사 등 민감한 사안에 남북의 의견을 조율해야 한다.
개최도시 후보인 서울시는 올림픽 개최비용을 남한 3조8천억원, 북한 1조7천억원 등 5조5천억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아이오시의 지원금이 2032년께에는 2조48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여 큰 도움을 받게 된다.
올림픽 개최를 위한 사회간접자본 투자에는 유라시아 횡단로 연결 등 장기적 경제효과를 내다본 남북 당국의 정치적 결단이 필요하다. 서울시는 서울-평양 왕복 4차선 고속도로(8조2700억원), 서울-평양 간 고속철도(12조1천억원), 지방도로(2조1천억원)와 송전선로(1조2천억원), 5세대(5G) 통신망(2조3500억원) 건설 등에 총 28조5600억원(남한 5조9천억원, 북한 22조66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2032 공동올림픽의 남쪽 개최지 유치는 서울시와 부산시가 각축을 벌이고 있다. 북한이 평양을 후보지로 선정한다면 서울과 평양이 2032 올림픽의 개최도시 상징성은 크다. 하지만 오래전부터 올림픽을 준비해온 부산도 의욕적으로 나서고 있다. 국내 개최지는 2019년 초에 결정된다.
대한체육회 관계자는 “올림픽 유치가 쉬운 게 아니다. 산적한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유치위원회 구성 전에 남북의 실무자들이 상시적으로 만나서 의견을 조율하는 상설 협의체를 만드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창금 기자
kimc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