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당·종교계·시민단체 반응 황우석 교수 연구진의 난자 채취의 윤리성을 둘러싸고 의혹을 제기했던 민주노동당과 종교계, 시민단체 등은 섀튼 교수의 ‘결별 선언’을 계기로 진실을 밝히고 생명 윤리를 세우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다른 정당들과는 달리, 정치권에서 줄기세포 연구에 대해 생명윤리 문제를 적극적으로 제기해온 민주노동당은 섀튼 교수가 황 교수와의 결별을 선언한 뒤, 상황을 조심스레 지켜보고 있다.
한재각 민주노동당 정책연구원은 “황 교수팀이 연구진 구성원한테서 난자를 확보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추가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섀튼 교수가 주장한 만큼, 이를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섀튼 교수가 <네이처>가 제기한 문제를 재차 거론한 것은 뭔가 믿을 만한 근거가 있다고 보여지므로 이에 대한 황 교수의 해명을 주의깊게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민주노동당은 지난 국정감사에서 서울대 수의대 기관윤리위원회에 황 교수의 줄기세포 연구의 윤리성을 심의한 서류 및 회의록을 요청하고, 황 교수팀이 보건복지부의 승인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줄기세포 연구를 추진했다고 주장하는 등 생명윤리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해왔다. 김성희 부대변인은 “일각에서는 민주노동당이 이번 사태의 빌미를 제공했다는 시각도 있지만, 난자 제공 문제는 시민사회와 외국에서도 끊임없이 제기됐던 사안”이라며, ‘민주노동당 책임론’에 선을 그었다.
종교계도 ‘진실 규명’을 촉구하고 있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생명윤리위원회 위원으로 배아 복제 반대를 주도해온 이창영 신부(가톨릭신문 사장)는 “선진국에선 난소에서 난자를 채취하는 것 자체가 불법이기 때문에 배아복제 연구를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데, 어떻게 황 교수팀이 185개의 난자를 채취할 수 있었는지 의아하다”며 “인공적으로 난자를 채취하면 불임을 야기하거나 심하면 사망에 이르는 부작용이 있다는 사실을 해당 여성에게 알렸는지, 우리도 의문을 제기해왔다”고 밝혔다. 이 신부는 “황 교수는 난자를 제공한 여성이 자율적으로 동의했고 그 여성의 사생활에 관한 것이어서 공개할 수 없다고 주장했지만, 누가 난자 채취로 인한 부작용을 충분히 알고도 이에 응할 수 있겠느냐”며 “만약 돈을 주고 난자를 거래했다고 하더라도 법에 저촉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환경운동연합·시민과학센터·한국여성민우회 등 11개 단체가 참여한 생명공학감시연대도 이번 일의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 환경단체 관계자는 “경찰이 난자 불법매매사건을 조사하는 시점에 이번 일까지 불거져 더욱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며 “우선 진실을 파악한 뒤 입장이나 행동방침을 정하겠다”고 밝혔다. 생명공학감시연대는 그동안 “배아 연구로 대표되는 최근의 생명공학 기술에 대한 사회적 성찰과 사회적 합의가 진지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보여왔다.
조연현 종교전문기자, 이본영 황준범 기자 c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