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물 배포·서명운동 시작
총무원 간부전원 일괄사표
조계종 총무원이 8일 전국 사찰에 〈조선일보〉 구독 거부 지침을 내려보내는 등 지난 5일 본사주지회의에서 결의된 조선일보 구독 거부 운동에 본격 착수했다.
총무원은 이 지침에서 법회와 행사 때 조선일보 구독 거부 운동의 의미를 알리는 홍보물을 나눠주며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전국 2300여개 소속 사찰과 신도 개인들도 구독을 거부하고 결과를 총무원에 알리도록 했다. 총무원은 사찰과 신도들에게 배달된 〈조선일보〉를 거둬 조선일보사 본사로 우편을 통해 반송하기로 했다. 서울 조계사 등 조계종 소속 사찰들은 총무원의 지침에 따라 이날 일제히 조선일보 구독 거부 현수막을 내걸었다.
총무원은 구독 거부 이유로 △‘부정한 돈을 지급받은 사찰이 신정아씨에게 사례비를 주었다’고 허위사실을 유포하고 △‘사찰 관련 인물? 변양균 고급 숙소 숙박비 누가’ 등 추측성 음해 보도를 했고 △‘월정사 문화재 보수비, 신정아와 관련된 것’이라는 등의 허위·왜곡 보도를 했다는 점을 제시했다.
조계종은 이와 함께 태고종, 천태종, 진각종 등 27개 종단이 참여한 한국불교종단협의회에도 조선일보 구독 거부 운동 동참을 요청하기로 했다. 다른 종단의 정서도 조계종과 비슷해 조선일보 거부 운동은 불교계 전체로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조계종 총무원 부·실장급 간부 전원은 이날 “신정아 사건으로 시작된 종교 편향, 불교 음해, 왜곡 수사와 보도 등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책임을 지겠다”며 일괄사표를 냈다.
총무원 관계자는 “외부의 음해에 강력히 대처하면서 동시에 내부 자정을 할 수 있도록 간부들이 사퇴하기로 했다”며 “이르면 이번주 중으로 새 집행부가 들어서면 더욱더 강력한 자정과 조선일보 구독 거부 운동이 전개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