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촛불 등 사회현안 목소리 ‘보복성’ 해석
천주교정의구현 전국사제단 대표 전종훈(사진) 신부가 21일 서울대교구로부터 안식년 발령을 받았다. 이로써 전 신부는 서울 노원구 수락산성당 주임 보직을 내놓게 됐다.
서울대교구장인 정진석 추기경이 단행한 이번 인사는 통상적인 인사 관례에서 벗어난 것이다. 가톨릭 사제는 서품 받은 지 10년이 넘으면 안식년 휴가를 받을 수 있고, 통상 한 신부가 정년퇴직 전까지 한 차례 정도 안식하는 것이 관례다. 그러나 1991년 서품 받은 전 신부의 경우 2001년이 안식년이었기 때문에 7년 만에 다시 안식년 인사가 난 것은 이례적이다.
이에 따라 가톨릭계에선 사회 현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는 사제단 활동에 대한 보복성 인사로 해석하고 있다. 전 신부는 지난해 삼성 비리를 고발한 김용철 변호사를 사제단이 보호한 뒤 정 추기경으로부터 1차 소환을 당한 바 있다. 이어 전 신부는 사제단이 서울광장에서 촛불 시국미사를 연 뒤 재소환을 받아 해외로 나갈 것을 종용 받았으나 이를 거부하자 이번에 안식년 발령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사제단 총무 김인국 신부는 “지금까지 교단 지도부가 사제단 소속 신부를 외곽으로 돌리긴 했지만, 현장에서 들어내겠다는 식의 인사를 단행한 것은 처음”이라며 충격을 나타냈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