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왕궁에서 만난 ‘조선왕실의궤 열람기’
3일 오후 3시 도쿄 시내 아키히토 일왕 부처를 비롯한 왕족들이 사는 왕궁. 왕실 업무를 담당하는 궁내청 도서관에 한국인 일행이 들어섰다. 이들의 목적은 <조선왕실의궤> 열람. 서명록에 적힌 이들의 이름은 조선왕실의궤 환수위원회 공동대표인 조계종 중앙신도회 김의정 회장, 김원웅 전 의원, 이종걸 민주당 의원, 문화재제자리찾기 사무총장 혜문 스님과 강수구 사무국장, 중앙신도회 이상근 사무총장 등이었다.
명성황후 장례·순종 결혼식 등72권 중 고종시대 6권과 만나까다로운 절차에 1시간 제한우리 것 보며 남의 감시받다니
왕궁은 일왕이 살고 있는 곳이기에 일반인들이 쉽게 드나들 수 없는 곳이다. 이들은 애초 <조선왕실의궤(儀軌)>의 열람을 제한하다 월정사 등 한국 불교계가 <조선왕실의궤> 오대산 사고본의 원래 관리자였던 점을 들어 열람을 요구하자 분쟁이 커지는 것을 무마하기 위해 열람을 허용했다. 열람 절차는 매우 까다로웠다. 카메라는 물론 필기도구도 갖고 들어갈 수 없고, 들어가기 전 소독기에 손을 넣어 소독해야 한다.
직원이 신줏단지 모셔오듯 가져온 의궤의 겉표지는 삼베로 검게 물들여져 있었다. 또 책을 쉽게 들 수 있도록 별도의 문고리가 달려 있다. <조선왕실의궤>는 조선시대 왕실의 주요 의식과 행사 준비과정 등을 상세하게 적고 그림으로 그려 만든 것으로, 조선시대 왕가의 의례와 문화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책자다.
이날 방문단이 열람을 신청한 의궤는 이곳에서 보관 중인 것으로 알려진 72권 가운데 고종시대의 것 6권이다. 방문단이 가장 먼저 펼쳐본 것은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였다. ‘개국 504년 을사 10월’이라고 적힌 표지의 이 책엔 일인들에 의해 살해된 뒤 주검조차 찾지 못한 채 2년 만에 치러진 국장의 모습이 담겨 있었다. <조선왕조실록>이 모두 문자로 돼 있는 책이라면 의궤에는 화공들이 직접 그린 유색 그림이 있는 게 특징이다. 국장에 참석한 한명 한명의 직책과 입은 옷, 그가 든 물건과 그의 자세까지 세세히 그려져 있다. 이 책엔 무려 그림만 100여쪽에 달한다. 책 말미엔 ‘대정(大正) 5년 조선총독부 기증’이라고 적혀 있다. 오대산 월정사 사고 등에 보관 중이던 의궤를 약탈한 조선총독부가, 이를 일본 왕실에 기증한 것이다. 문화재제자리찾기운동의 주역인 혜문 스님은 “<조선왕실의궤>는 세계의 어떤 왕가에서도 찾아볼 수 없을 만큼 왕가의 의식과 풍습을 꼼꼼히 그려놓아 일본 왕실에 아주 요긴할 것으로 본 조선총독부가 이를 일 왕궁으로 보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펼쳐본 <와세자가례도감의궤>는 상·하권 두 권이었다. 순종을 장가보내는 과정을 기록한 이 책은 상권이 360쪽, 하권이 238쪽에 이르며, 상권엔 70여쪽에 혼례식 전 과정에 그려져 있다. 기록들을 살펴본 김원웅 대표는 “어떻게 이렇게 세계적으로 찾아보기 어려운 기록문화의 꽃을 찬란히 꽃피웠던 나라가 총칼 앞에 그토록 무력하게 주저앉아버렸는지 기가 막힌다”고 말했다.
<보인소도감의궤>엔 궁궐에 불이 나 소실된 옥쇄를 다시 만드는 과정이 그림과 함께 상세히 그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국장도 이 의궤의 기록에 따라 만들어진다. 왕을 추대하는 <추존의궤>, 왕이 등극하는 <대례의궤> 등에선 그 시절 쓰였던 그릇과 다기, 주전자 등이 문양까지 상세히 그려져 있다.
그러는 사이 열람 제한 시간 1시간이 다 됐다. 어머니의 뒤를 이어 평생 차문화를 연구해온 명원문화재단 이사장이기도 한 김의정 회장은 “우리 것을 일본 왕실에 와야만 보는 것도 기막힌데, 이마저도 마음대로 볼 수 없고 일본인들의 감시와 제한을 받으니 참담한 심경”이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책을 열람한 뒤 일왕실이 보관하고 있는 <조선왕실의궤>가 72권이 아니라 80권이라는 설에 대해 물으니 고서 책임자는 “잘 알지 못한다”거나 “취재에는 응할 수 없다”고 입을 다물었다.
도쿄/글·사진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