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우스님과 함께한 청두 순례
지난 4일 중국 쓰촨성 청두. 2년 전 지진으로 7만여명이 사망하고 500만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한 대재앙에도 불구하고 끊임없는 개발붐으로 옛자취를 찾아보기 어려운 곳이다. 그런 곳에서 지난 16일 한국에서 온 순례객들이 옛 선사들의 자취를 찾았다. 조계종 중앙신도회 산하 불교인재원 주최로 중국 선적지(禪跡地) 순례에 나선 이들이었다. 순례단은 조계종 원로의원으로 경북 봉화 금봉암에 주석하고 있는 고우 스님(73)이 이끌었다. 6년 전부터 매년 선사들의 발자취를 찾는 고우 스님의 그림자가 되어준 경북 문경 대승사 주지 철산 스님(55)을 비롯한 36명의 순례단이 고우 스님의 뒤를 따랐다.
개발붐…선적지 자취 흐릿선문답 풀어 중생들에 설파“더불어 살아야 공정 사회”
순례단은 무상선사의 영국사와 어하굴을 거쳐 ‘선의 황금기’를 연 마조도일의 고향에 세워진 나한사에 이어 원오극근선사가 선어록인 벽암록을 강의하고 열반했던 소각사를 찾았다. 그러나 문화혁명을 거친 중국 사찰에서 ‘선의 정신’은 찾아보기 어렵다. 오히려 순례객들은 1천여년 전 선의 정신을 현대의 언어로 풀어내는 고우 스님의 말에서 옛 선사들의 향기를 느끼는 듯했다.
동문서답으로 일관하는 듯한 선문답은 현대인들에겐 말장난쯤으로 치부된다. 하지만 고우 스님은 “나와 너, 주관과 객관을 초월한 자리에서 나오는 소리”라고 했다. 나만을 아는 이기심이 치성하고, 남의 의견을 경청하기보다는 내 목소리를 높이기 바쁜 시대엔 더욱 이해하기 어려운 소리다.
고우 스님의 말 가운데서 순례단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은 선문답이 아니라 오히려 현시대에 대한 선적인 방편이다. 예컨대 고우 스님은 이명박 대통령 취임 이후 벌어지고 있는 정부의 종교편향을 놓고 서울광장에서 규탄집회를 열기보다는 이 대통령을 위해 기도를 하는 것이 더 불교적인 것이라고 했다.
유마거사가 탁발하러 온 사리불(석가모니의 수제자)에게 “외도(타종교인)에 떨어져 그들과 어울릴 정도가 되어야 내게 밥을 얻어먹을 수 있다”고 한 것처럼 ‘선의 세계’에선 종교의 차별심을 넘어선다는 것이다. 고우 스님은 최근 이 대통령이 내놓은 ‘공정한 사회’ 에 대해서도 선적인 해법을 내놓는다.
“우리 사회엔 용이 너무 많아서 탈이다. 누구나 원하는 고위직을 획일적으로 나눌 수도 없다. 자기가 하는 일을 남과 비교하지 말라. 귀천을 따지기보다는 자기가 하는 일의 가치와 의미를 발견해라. 그렇게 자주적인 사람이 되라. 그러면 기쁘게 열심히 일하게 되니, 자연스레 자기 분야에서 능력을 인정받을 수도 있고, 명예를 얻을 수도 있게 될 것이다. ”
고우 스님은 “서로 비교해 우열을 따지고 무시하고 부러워하기보다는 비교하지 않고 서로 존중하며 더불어 사는 것이 공정한 사회”라고 했다. 시공을 초월해 1천여년 전에서 현재로, 중국에서 우리나라의 화두 풀이로 돌아온 것이야말로 순례보다 소중한 선물이었다.
청두/글·사진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