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자료 사진
태자가 자기 나라 안에서 여자들은 시집 가기에 앞서 자신에게 먼저 처녀성을 바칠 것을 요구해 성교를 하며 전횡을 저저질렀다면?
광복절을 앞두고 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가 9일 서울 견지동 총무원청사에서 연 ‘호국불교 전통의 재조명’이란 학술세미나에서 조준호 고려대 연구교수는 초기 불교 경전인 <세기경>에 언급된 예화를 통해 ‘불교의 국가관과 정교분리의 입장’을 설명했다.
조 교수는 “태자의 행위에 분노한 백성들이 몽둥이를 들고 왕에게 달려가 ‘살고 싶으면 저 태자를 죽이고, 만일 태자를 살리고자 한다면 지금 당장 왕을 죽일 것’이라고 하자 왕은 ‘집안을 위해선 한 사람을 잊고, 마을을 위해선 한 집안을 잊고, 나라를 위해선 한 마을을 잊고, 내 몸을 위해선 세상을 잊는다’고 말하며 태자를 끌고가는 것을 허락하자 백성들이 태자를 처형했다”고 소개했다.
조 교수는 “이런 이야기를 통해 적어도 초기 불교에선 국왕을 신성하다거나 절대적인 존재로 보지않았다”며 “불교는 본래 왕권이나 정치권력과 완전히 단절하거나 방관 또는 냉소적이지는 않고, 정치적 이익이나 권력 간 알력에 개입하거나 관여하지 않았고, 그 권력이 교단 내부까지 관여하거나 간섭할 수 있는 소지를 허락하지도 않았다”고 밝혔다. 국가와 밀접한 관계 속에 있으면서도 정치권력과 결탁을 거부하는 독립된 위상을 지녔다는 것이다.
조 교수는 “그러나 인도 힌두 바라문교를 신봉한 슝가왕조의 푸쉬야미트라왕과 동인도 카르나수바르나 사상카왕 등이 불교를 배척해 수많은 절을 파괴하고, 986년 인도를 침공한 이슬람교가 동인도 위크라마실라사원의 8천명의 승려들과 오단타푸라 사원의 2천명의 승려들을 집단 학살하고 사찰을 철저하게 파괴하면서 정교분리의 종교가 타종교의 정치적 탄압과 폭력 앞에 얼마나 무력한가를 알게 됐다”면서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불교의 공통적인 호국불교에 대해 “그런 역사가 종교가 정치권력화의 꿈을 저버리지 못하고 매달리는 것인지 모른다”고 분석했다.
조 교수는 “과거 왕권중심의 봉건사회가 아닌 이 시대의 불교도가 시대적인 사명감을 갖고 담당해야 할 호국은 불교의 본질 속에서 재조명되어야 한다”며 환경 보호와 인권 보호, 민주주의 수호, 정부나 기업의 부패 방지에 힘쓰는 형태들을 제시했다.
이어 발제에 나선 김용태 동국대 연구교수는 “신라시대에 신라가 불국토이며 신라왕실은 석가모니의 가문과 같은 신성한 혈통을 가진다는 의식에서 성골,진골의 개념이 파생했다”며 신라 화랑도와 조선 임진왜란 때 서산대사와 사명대사와 승군들의 활약을 소개했다. 김 교수는 “유교 사림들의 의병활동 못지않은 승군들의 활약은 억불숭유의 조선시대의 후기에 불교가 존립할 수 있게 해주었다”고 분석했다.
이어 한국국학진흥원 김순석 목판연구소장은 “호국불교는 ‘불교계가 나라를 지킨다’는 뜻인데 나라를 지키는 것은 종교계가 표방해야할 사안이 아니고 국가 운영을 책임지는 정부의 의무”라면서 “종교단체는 나라를 지키는데 일조할 수는 있지만, 전면에 나설 필요는 없고, 불교도들은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자기 역할에 충실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김 소장은 불교 인사들이 일제를 돕고 해방 이후 정권에 불교계가 정권과 결탁한 사례를 들면서 “문제는 호국불교가 백성을 위한 실천적인 모습으로 전개되기 보다는 지배계급의 논리를 옹호하고 나아가서 인명을 살상하는 살육 전쟁까지도 정당화하는 역할을 담당했다는 것”이라면서 “안으로는 종권과 이권 다툼에 골몰하면서 밖으로 정권과 결탁해 호국불교를 외쳐 보아야 돌아오는 것은 냉소와 비웃음 뿐으로 불교도들은 그런 승단으로부터 등을 돌릴 것이기 때문에 불교도들은 적어도 자신을 기만하는 일을 해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김 소장은 “호국불교는 불교의 이상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호법불교로 바뀌어야 하며, 승려들은 수행자의 본분인 수행에 철저해야 하고, 나아가서 중생들을 제도하는데 헌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불교사회연구소는 다음 달 6일 오후 2시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역사 속에서 의승군의 역할을 살펴보는 ‘호국불교 의승군 세미나’를 연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