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사람은 자살을 시도할 수 있다.
‘자살 예방의 날’(5일)을 맞아 기독교윤리실천운동(기윤실) 주도로 개신교계 차원의 ‘한국교회를 위한 자살 예방 가이드 북’이 나왔다.
지난 2009년 기준으로 한해에만 1만5413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10만명당 자살사망자(2009년 기준)는 28.4명.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위다. 하루 평균 42.2명이 자살로 생을 마감하고 있다. 자살 사망자는 10년새 5배가 증가했다. 10대부터 30대까지는 자살로 사망한 수가 교통사고와 암을 제치고 1위에 올라섰다. 청년 자살이 심각한 수준이다.
자살이 이토록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었지만, 일부 교회에선 “자살하면 지옥에 떨어진다”며 비난하거나 장례마저 거부해 가족의 자살로 고통 속에 있는 유족들이 위로 받기는커녕 고통이 배가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이에 따라 자살자 유족들이 상처를 안고 교회를 떠나는 일도 적지않았다. 그래서 교인들의 상처를 보듬고 치유하는 공동체 회복을 위해선 ‘자살’에 대한 교회 차원의 대책이 마련되어야한다는 자성에 따라 지침을 낸 것이다.
기윤실은 자살과 관련한 수차례의 세미나를 거쳐 목회사회학연구소, 수원시자살예방센터, 연세대 의료원 원목실,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 한국기독교사회복지협의회, 한국실천신학회와 공동으로 ‘자살에 관한 설교지침’을 마련했다. 이 지침에선 ‘자살이 이루어지는 것은 사회적, 심리적, 환경적, 개인적 요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므로 믿음이 없어서 자살했다거나 교회가 잘못해서 그렇다고 단정적으로 말하지 말고, 유가족을 배려하라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또 자살 예방을 위해선 우울증을 영적 문제가 아닌 정신보건의 문제로 소개하고 치료를 권하고, 자살로 모든 것이 끝나는 것이 아니라 유족들의 아픔 등 해결되지않은 문제들이 남아있음을 알려줄 것을 권했다.
가이드북은 △자살로 이어질 수 있는 11가지 징후 △자살 경고 신호 8가지 △청소년 자살의 위험 징후 6가지 △타인이 자살 충동을 느낄 때 지켜야 할 6가지 수칙 등과 함께 ‘자살 예방, 자살 유족을 도우려는 기관들’을 소개해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했다.
이 지침은 ‘자살자를 위한 장례 예식’을 포함하고 있다. 자살자와 유가족을 교리적 이유로 정죄하기보다는 이 지침에 따라 기도와 설교, 묵상, 찬양 등을 해 유족들이 좀 더 위로받도록 한 배려를 담고 있다. 장례기도문은 “죽어도 산다고 하는 부활의 믿음을 주셔서, 절망할 수 밖에 없는 환경 중에 있지만 그것을 극복하게 하시고 담대한 생활, 산 자의 삶을 감당하게 하옵소서. 서로의 아픔을 모르고 기도하지 못했던 우리의 죄를 회개합니다.”으로 꾸며졌다.
기윤실 이사장 이동원 목사는 “그동안 우리는 자살자를 정죄하기에 바빴지 그들을 자살의 함정에서 구해내지도, 예방하지도 못했다”면서 “더 늦기 전에 한국교회가 자살 예방의 적극적인 가이드가 되는 것을 보고 싶다”고 밝혔다.
잇따라 네명의 학생들이 자살한 대전 카이스트 분향소에서 분향중인 학생들
▶자살에 관한 설교지침
1. 자살에 대해서 단정적으로 말하지 않는다.
2.유가족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3.자살의 방법이나 장소, 자살의 경위는 상세히 묘사하지 않는다.
4.유명인의 자살을 미화하거나 영웅시하지 않는다.
5.자살을 고통 해결의 방법으로 설명해서는 안된다.
6.흥미중심이나 흥미로운 예화로 사용하지 않는다.
▶자살예방을 위해 언급해야 할 것들
1.생명의 소중함을 강조한다.
2.자살의 사회적 심각성을 강조한다.
3.어려움이 있을 때 상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소개한다.
4.자살의 현실을 설명한다.
5.자살 징후들을 소개한다.
6.자살위기에 처한 사람들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7.우울증을 영적문제가 아닌 정신보건의 문제로 소개하고 치료를 권한다.
▶자살로 이어질 수 있는 11가지 징후
1.이유 없이 우울해하거나 슬퍼질 때
2.삶의 의욕이 사라져 무엇을 해도 기쁨이나 성취감을 느끼지 못할 때
3.부쩍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할 때
4.자살에 쓰이는 약에 대한 정보를 궁금해 할 때
5.어떤날은 기분이 매우 좋고 어떤날은 심하게 우울해지는 등 감정의 기복이 클 때
6.사소한 복수에 연연하는 등 화를 주체하지 못할 때
7.식습관, 수면습관, 표정, 행동 등이 이전과는 달라졌을 때
8.운전을 험악하게 하거나 불법적인 약을 복용하는 등 위험하고 파괴적인 행동을 할 때
9.갑자기 침착해질 때(자살을 결정하면 차분해진다)
10.학교 생활, 인간 관계, 직장 생활, 이혼, 재정적 문제 등 삶의 위기를 느낄 때
11.자살과 관련된 책에 흥미를 느낄 때
▶자살 경고 신호
1.가족이나 친지, 친구에게 직간접으로 이야기를 한다.
2.가족의 반응이 없으면 성직자나 의사를 찾는다. 평소의 신앙생활과는 달리
인생문제를 상의하고, 병이 없는데도 아프다며 의사를 찾는다.
3.자살의 결단을 내린 순간부터 식욕, 성욕을 잃어버린다.
4.자살 결단을 내리고부터 수면 형태가 바뀌어 잠을 못 자던 사람은 푹 자고,
잠을 잘 자던 사람이 불면증이 시달린다.
5.유서를 작성한다.
6.자살을 결심한 사람은 먼 여행을 가는 것과 같이 준비를 한다.
개인 비품이나 서랍을 정리하고, 속옷을 갈아입고, 이발 등을 한다.
7.아껴 온 물건들을 주위 사람들에게 나누어준다.
8.“이제 나로 인한 고통은 더 이상 없을 것이다.” “먼 여행을 하고 싶다.”
“그 동안 고마웠다”라는 등의 이별을 예고하는 말들을 주위 사람들에게 한다.
▶청소년 자살의 위험 징후
1.행동이나 성격이 갑자기 변할 때
2.뚜렷한 이유 없이 깜짝 깜짝 놀라거나 안절부절, 식사거부, 불면증을 호소할 때
3.일기장에 죽고 싶다는 얘기나 죽음에 대한 내용을 쓰거나 자주 언급될 때
4.가족 중에 자살 미수자나 자살자가 있는 경우
5.성격이 충동적, 폭발적, 자기 파괴적 경향이 있을 때
6.인터넷 자살사이트를 방문하거나 참여할 때
▶자살 충동을 느끼는 타인에 대해 지켜야 할 6가지 수칙
1.혼자 두지 않는다. 주변에 총,칼,약처럼 자살에 사용될 수 있는 물건들이 방치돼 있을 때 더욱 위험하다.
2.위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혼자 해결하려 하지 않는다.
119나, 지역응급센타,의사,경찰,다른 사람에게 전화해 도움을 요청한다.
3.도움을 요청하고 기다리는 동안엔 차분하게 대화를 한다.
시선을 마주하고 손을 잡고 대화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4.자살 방법 등의 자살 계획을 면밀하게 세워뒀는지 대화를 통해 알아둔다.
5.주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많다는 사실을 상기시킨다.
6.자살을 시도했을 땐, 즉시 앰블런스를 부르고 응급조치를 시도한다.
▶자살 예방, 자살 유족들을 도우려고 하는 기관(가나다순)
-경기도광역정신보건센터 www.mentalhealth.or.kr 1577-0199
-경기도광역정신보건센터 자살예방 www.mindsave.org
-생명의 전화 www.lifeline.or.kr 1588-9191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suicide.blutouch.net 1577-0199
-성남시정신보건센터 자살예방팀 www.sncmhc.com
-수원시 자살예방센터 www.csp.or.kr 031-214-7942
-안산시정신보건센터 생명사랑위기관리팀 ansancmhc.or.kr
-원주시정신보건센터 생명사랑위기관리팀 loveme.yonsei.ac.kr
-인천광역시정신보건센터 자살예방팀 www.icmh.or.kr
-정신건강위기상담전화 1577-0199
-천안시정신보건센터 자살예방팀 www.cancenter.or.kr
-춘천지역사회정신건강네트워크 www.mindnetwork.or.kr
-한국자살예방협회 www.suicideprevention.or.kr 02-413-0892~3
-한국자살예방협회 사이버 상담실 www.counselling.or.kr
-화성시정신보건센터 자살예방팀 www.hamind.or.kr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