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 국제민주연대와 지구지역행동네트워크, 인권운동사랑방 등 인권단체 활동가들이 1일 오전 서울 효자동 주한 중국대
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중국 공안의 티베트 시위 유혈 진압을 규탄하며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 <한겨레> 자료
조계종 입법부인 중앙종회가 중국 정부의 티베트 탄압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중앙종회 7개 분과 상임위원장 전원은 지난 14일 공동기자회견을 열어 “1951년 티베트를 강점한 중국정부는 60여년 동안 120만명에 이르는 티베트인들을 죽음으로 내몰았으며 종교 탄압 정책을 통해 발포와 무차별적인 구타로 티베트인들의 자유와 정신을 억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성명은 지금까지 중국 정부의 입장을 그대로 따르는 중국불교와 우의와 한국정부의 외교노선에 편승한 불교계가 불교권 약자들의 인권을 대변하기 위해 전향적으로 변신을 시도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성명엔 중앙종회 총무분과위원장 주경스님, 사회분과위원장 대오스님, 호법분과위원장 초격스님, 교육분과위원장 법안스님, 재정분과위원장 성직스님, 포교분과위원장 정범스님, 법제분과위원장 무애스님 등 7개 분과위원장 전원이 동참했다.
이들은 사회분과위원장인 대오 스님이 읽은 성명서를 통해 “티베트에서는 2008년부터 최근까지 24명의 승려와 국민들이 소신공양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으로 자유와 독립을 요구하며 목숨을 건 시위를 하고 있다”면서 “중국정부는 소신한 승려의 법구(주검)를 돌려달라는 시위대를 향해 총격을 가하는 등 반인륜적인 탄압을 자행하고, 시위 발생 지역의 전화, 인터넷 등 모든 통신수단과 도로를 통제하고 외국인의 출입을 금지해 현지 소식을 철저히 차단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지난 1월25일 티베트 키르티사원에서 온 동자승들이 24일 티베트 임시정부가 자리잡고 있는 인도 다람살라에서
중국의 티베트 정책에 항의하는 촛불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들의 뒤로 소신공양한 승려들의 사진이 보인다. 사진 <한겨레> 자료
이들은 “소신한 승려들의 신병 양도를 비롯해 주둔 군대의 조속한 철수, 양심수 석방, 승려에 대한 충성 강요 행위 및 강제 이주 정책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또 “지난해 11월 한중일 불교대표단은 불교우호교류회의를 통해 생명과 평등, 평화, 지혜, 불국토가 되는 세상을 선언문에서 발원한만큼 티베트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결의문 채택과 진상조사위원회 구성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무력 탄압이 일어나고 있는 오늘의 티베트 현실을 묵과하고 3국의 불교 발전을 기원하는 것은 연목구어(산에서 물고기를 구함)에 지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 성명이 3월 임시중앙종회에서 전체 결의문으로 채택토록 노력하고, 중국대사관 방문해 항의 서한 전달하고, 티베트 사태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하고 불자국회의원들을 동참시키기로 했다.
조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