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휴심정 뉴스

임인덕 신부의 한국인 책 영화 사랑

등록 2013-10-14 18:19

임인덕 신부.  사진 <경향잡지> 제공

한국에서 40여년 간 종교 영화와 출판의 선구자로 활약하며 민주화에도 기여한 독일인 임인덕(독일명 하인리히 세바스티안 로틀러) 신부가 지난 13일 새벽(한국시간) 독일 뮌스터슈바르작 수도원에서 병환으로 선종했다. 향년 78세.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태어나 1955년 베네딕도회 뮌스터슈바르작 수도원에 입회한 임 신부는 뮌헨대학교에서 종교심리학을 공부하고 1965년 사제서품을 받고 이듬해 한국 왜관수도원에 선교사로 파견됐다.

 고인은 1972년부터 왜관수도원의 분도출판사 사장에 부임해 20여년간 구티에레스의 <해방신학>과 브라질의 마틴 루터 킹이라는 돔 헬더 카마라 주교의 <정의에 목마른 소리>를 비롯해 <아낌없이 주는 나무>, <꽃들에게 희망을> 등 400여편을 펴냈다. 아동문학가 권정생의 <도토리 예배당 종지기 아저씨>, <초가집이 있던 마을>, <몽실언니>와 김지하 시인의 <검은  산 하얀방>, <밥>, 이해인 수녀시인의 시집 등도 그의 손을 거쳐 출간됐다. 1982년 사진작가 최민식을 지원해 빈민층의 모습을 담은 사진집을 출간한 것도 그였다.

 임 신부는 출판뿐 아니라 영화를 통해서도 영성과 시민의식을 깨웠다. 그는 <사계절의 사나이>, <나사렛 예수>, <찰리 채플린> 등 16㎜ 필름을 한국어로 더빙해 대학가와 공장 노동자들을 찾아다니며 직접 영사기를 돌렸다. 

 임 신부는 1987년 불의의 교통사고로 인한 골반 파열로 네 차례 큰 수술을 받으면서도  지팡이를 짚고 다니면서도 그런 활동을 계속했다.

 그는 1980년 광주민주화항쟁 직후에서 현지에서 나온 신학생을 통해 ‘시민 폭동으로 네 명의 군인과 한 명의 시민만이 희생됐다’는 국내 언론의 보도가 왜곡됐다는 것을 안 뒤 광주 현장의 증언을 밤새도록 녹음한 테이프를 서울의 성당으로 올려보내 미사에 나눠주도록 한 사실을 발각돼 출국당할 뻔 하기도 했다. 

 불의에 숙이지 않는 그의 남다른 정의감은 수도자로서 영성과 함께 부친의 영향으로 알려진다. 전기기술자였던 그의 부친은 나치에 반대하다가 고향에서 쫓겨났지만 단 한 번도 뜻을 굽히지 않았다고 한다. 이로 인해 임 신부는 초등학교 시절 교실에서 히틀러의 사진을 가리키며 ‘어떤 사람이냐’고 묻는 교사의 질문에 ‘전쟁을 일으킨 범죄자’라고 답했다가 교사가 밤늦게 집에 찾아와 그의 부모에게 “위험한 아이니 주의를 시키라”고 했다는 일화가 전한다.

 임 신부는 건강이 악화되자 2년 전 46년의 한국 생활을 정리하고 독일로 돌아가치료를 받아왔다.

 왜관수도원은 14일 아침 장례미사를 가진 데 이어 오는 31일 오전 10시  30분에는 임 신부의 지인들을 위한 추모미사를 연다.

 ♣H6s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사진 <경향잡지>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휴심정 많이 보는 기사

두번째 화살을 맞지않으려면 1.

두번째 화살을 맞지않으려면

홀로된 자로서 담대하게 서라 2.

홀로된 자로서 담대하게 서라

착한 일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 3.

착한 일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

천도재도, 대입합격기도도 없는 사자암의 향봉스님 4.

천도재도, 대입합격기도도 없는 사자암의 향봉스님

고통이 바로 성장의 동력이다 5.

고통이 바로 성장의 동력이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