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휴심정 좋은글

희극성과 비극성

등록 2015-05-03 09:39

1925년 개봉된 <황금광 시대>는 상업성과 예술성에서 모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황금광 시대>의 명장면은 굶주림에 정신이 혼미해진 주인공이 식사를 하는 장면이다. 낡아빠진 헌 구두를 접시 위에 올려놓고 정성을 다해 맛있게 음식을 먹는다. 구두끈이 마치 스파게티의 국수가닥인 것처럼. 이 장면은 눈 덮인 산 속에 갇힌 이주자들이 살아남기 위해 동료들의 인육을 먹었다는 이야기에서 착상했다. 채플린은 회고록에서 이렇게 쓴다.

"역설적이지만 한 편의 희극성을 창조함에서 그 희극성을 돋보이게 하는 장치로 이용되는 것은 비극성입니다. 희극성이라는 것이 반항적인 태도에서 비롯되기 때문일 것입니다. 전지전능한 자연 앞에 선 우리의 미약함을 발견하고 취할 수 있는 대체 수단이란 웃음밖에없을 것입니다. 아니면 미쳐버리고 말겠지요."

<런던이 사랑한 천재들>(조성관 지음, 열대림) 중에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휴심정 많이 보는 기사

두번째 화살을 맞지않으려면 1.

두번째 화살을 맞지않으려면

홀로된 자로서 담대하게 서라 2.

홀로된 자로서 담대하게 서라

착한 일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 3.

착한 일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

천도재도, 대입합격기도도 없는 사자암의 향봉스님 4.

천도재도, 대입합격기도도 없는 사자암의 향봉스님

고통이 바로 성장의 동력이다 5.

고통이 바로 성장의 동력이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