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야생동물

‘다이버 안 무서워’…화려하지만 치명적인 물고기

등록 2018-09-26 15:50수정 2018-09-26 19:52

[애니멀피플] 김지현의 독도 아리랑
야행성 포식자 쏠배감펭…독가시에 쏘이면 불에 덴 듯 화끈
독 믿고 느긋한 움직임…대서양선 외래종으로 골치
화려한 색깔과 무늬로 자식의 독을 과시하는 쏠배감펭 독도 서도 혹돔굴 입구 수심 20m에서 촬영했다.
화려한 색깔과 무늬로 자식의 독을 과시하는 쏠배감펭 독도 서도 혹돔굴 입구 수심 20m에서 촬영했다.
물고기의 움직임은 개별적이고 구체적이다. 물속에서 물고기는 절대 고독과 완전한 자유로움을 느낄까. 독도 혹돔굴 들머리 큰 자갈 주변에서 어린 쏠배감펭을 늘 만난다. 어째서 항상 그 근처에 있고 또 크기가 그대로인지, 그 이유와 생태를 알지 못한다.

독이 있는 생물은 자신에게 독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화려한 색과 무늬를 띠거나 겉모습이 독특하다. 독이 있다는 자신감 때문일까, 움직임도 느리다.

쏠배감펭(Pterois lunulata)은 영어권에서 ‘사자 고기’(라이언 피시)로 부른다. 가시 모양이 사자 갈기를 닮았기 때문이다. 이 가시에 독이 있다. 이 물고기는 제주도나 동중국해 등 온대와 열대 광범위한 해역에서 산다. 최근엔 대서양에서 관상어로 기르던 아시아의 쏠배감펭이 풀려나가 대서양과 카리브해 등에서 토착 어종을 마구 잡아먹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쏠배감펭의 독은 생명을 위협할 만큼 심하지는 않지만 순간적인 쇼크로 정신을 잃을 수 있어 다이버는 조심해야 한다.
쏠배감펭의 독은 생명을 위협할 만큼 심하지는 않지만 순간적인 쇼크로 정신을 잃을 수 있어 다이버는 조심해야 한다.
몸길이 30㎝까지 크고 호기심이 강한 물고기다. 가시의 독을 믿어서인지, 물속에서 다이버를 봐도 별로 겁내지 않는다. 위기를 느끼면 지느러미를 넓게 벌려 18개의 독 가시를 곧추세운다. 각각의 가시에서 나오는 독의 양은 사람의 생명을 위협하는 수준은 아니지만, 순간적인 쇼크로 정신을 잃을 수 있다. 통증은 불에 덴 듯 화끈거리고 고통스럽다. 응급처치로 뜨거운 물수건으로 찜질해 주면 통증이 가라앉는다. 수건의 열이 가시에서 나온 독성 단백질을 분해하기 때문이다.

쏠배감펭의 주 서식처는 수심 5~30m 사이의 모래와 암반 지역이다. 체고가 약간은 높은 타원형이며, 두 눈 사이는 깊게 패 있다. 가슴지느러미는 공작의 날개 깃처럼 크고 아름다우며, 지느러미를 이룬 뼈(연조)는 각각 분리되어 있다. 몸은 연한 빨간색 바탕에 약 20여개의 흑갈색 수직 줄무늬가 있다. 야행성이며 갑각류나 작은 고기를 잡아먹는다.

군산대 독도해양생물생태연구실 박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1.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2.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3.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4.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5.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