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구례읍 오래된 삶 풀어내는 도서관과 사람들

등록 2021-12-24 04:59수정 2021-12-24 19:15

[한겨레Book] 우리 도서관은요 - 구례군 매천도서관

전남 구례군 매천도서관 ‘2021년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참가자들은 올해 구례읍의 노포와 생활명소를 탐방하고 글과 사진으로 기록해 <오래된 가게, 오랜 이웃>이라는 책을 펴냈다. 지난 6일 구례군 매천도서관에 모인 참가자들은 그간의 소회를 나누는 후속모임 겸 출판기념회를 갖고 책 속의 장소들을 함께 돌아봤다.
전남 구례군 매천도서관 ‘2021년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참가자들은 올해 구례읍의 노포와 생활명소를 탐방하고 글과 사진으로 기록해 <오래된 가게, 오랜 이웃>이라는 책을 펴냈다. 지난 6일 구례군 매천도서관에 모인 참가자들은 그간의 소회를 나누는 후속모임 겸 출판기념회를 갖고 책 속의 장소들을 함께 돌아봤다.

지리산을 닮은 박공지붕이 멋스러운 구례군 매천도서관에서 10여명의 탐방대가 출발했다. 도서관에서 구례경찰서까지 가는 구례읍 봉성로에는 노포와 이웃들이 있다. 1975년 문을 열어 ‘구례읍 사교문화의 장’으로 수십 년 단골들의 사랑방인 성남이용원, 요즘에도 ‘동아출판사 전설의 세일즈맨 박 총무’가 지닌 50년 관록에 힘입어 성업 중인 동아서점, 왕씨 3대가 80여 년을 이어온 중국음식점 왕성…. 함께한 세월만큼이나 묵직하고 두터운 사연을 품은 노포와 사람들이, 올해 구례군 매천도서관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의 주인공이다.

또 다른 주인공은 ‘구례읍 오래된 삶이 그리는 안내서, 구례지오그래피’라는 주제로 지난 5~9월 20회에 걸쳐 진행된 이 프로그램 참가자들이다. 참가자 모두 ‘작가’가 되어 구례읍의 오랜 명소와 명인들을 취재하고 기록했다. 그 기록을 엮은 책 <오래된 가게, 오랜 이웃>의 출판기념회 겸 후속모임이 지난 6일 구례군 매천도서관에서 열렸다. 오랜만에 한자리에 모인 참가자들은 그간의 소회를 나누고 책 속 장소들을 함께 탐방하는 시간을 가졌다.

“2015년 처음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을 시작할 때 구례라는 공간과 이곳 사람들 이야기를 매개로 접근하면 주민들이 인문학을 좀 더 편안하게 받아들일 거라는 생각을 했어요. 그래서 지리산마을학교를 운영하는 임현수 지리산씨협동조합 대표를 만나 상의하고, 프로그램을 함께 꾸리기로 했지요.” 7년 전부터 프로그램의 기획·운영을 담당해온 조현옥 사서는 “당시만 해도 구례를 매개로 한 인문학 프로그램을 시리즈로 하게 될 거라곤 생각 못했다”고 했다.

2015년 첫해에는 지리산 둘레길을 걸으며 역사·지리·문화를 탐구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해, 지역 주민들의 호응과 참여를 이끌어냈다. 2018년에는 지역 고교생들이 70대 어머니들의 삶을 듣고 기록해 <지리산 어머니 평전>를 펴냈다. 해를 거듭하면서 구례군 매천도서관의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은 구례의 삶·역사·문화·환경·지리를 탐구하는 ‘구례인문학’ 시리즈로 자리잡았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민들이 지속적인 연구와 활동을 위해 자발적으로 결성하고 도서관이 지원 중인 관련 동아리가 두 개나 된다. 구례 근현대사를 연구하는 동아리와 구례에 관한 그림책을 만드는 동아리다.

<오래된 가게, 오랜 이웃>을 편집하고 다른 주민들의 글쓰기를 지도한 박수현 작가는 구례 출신으로 서울살이를 하다 몇 년 전부터 고향에 내려와 글을 쓰고 있다. 태양사진관을 취재한 서명대씨는 5년 전 귀농해 구례살이의 즐거움을 한창 누리는 중이다. 돌아가신 어머니의 단골 한복집인 보문상회를 취재한 정성임씨는 이곳 토박이 중의 토박이다. 귀농귀촌 인구가 많은 구례에서 지난 7년 간 ‘외지것’과 ‘여긔것’이 한데 모여 구례와 구례살이, 구례사람 이야기를 구수하게 풀어내는 사이, 구례군 매천도서관의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은 ‘지역인문학’의 진지이자 산실이 됐다.

구례/글·사진 이미경 자유기고가

전남 구례군 매천도서관 ‘2021년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참가자들은 올해 구례읍의 노포와 생활명소를 탐방하고 글과 사진으로 기록해 &lt;오랜 이웃 오래된 가게&gt;라는 책을 펴냈다. 지난 6일 구례군 매천도서관에 모인 참가자들은 그간의 소회를 나누는 후속모임 겸 출판기념회를 갖고 책 속의 장소들을 함께 돌아봤다.
전남 구례군 매천도서관 ‘2021년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참가자들은 올해 구례읍의 노포와 생활명소를 탐방하고 글과 사진으로 기록해 <오랜 이웃 오래된 가게>라는 책을 펴냈다. 지난 6일 구례군 매천도서관에 모인 참가자들은 그간의 소회를 나누는 후속모임 겸 출판기념회를 갖고 책 속의 장소들을 함께 돌아봤다.

전남 구례군 매천도서관 ‘2021년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참가자들은 올해 구례읍의 노포와 생활명소를 탐방하고 글과 사진으로 기록해 &lt;오랜 이웃 오래된 가게&gt;라는 책을 펴냈다. 지난 6일 구례군 매천도서관에 모인 참가자들은 그간의 소회를 나누는 후속모임 겸 출판기념회를 갖고 책 속의 장소들을 함께 돌아봤다.
전남 구례군 매천도서관 ‘2021년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참가자들은 올해 구례읍의 노포와 생활명소를 탐방하고 글과 사진으로 기록해 <오랜 이웃 오래된 가게>라는 책을 펴냈다. 지난 6일 구례군 매천도서관에 모인 참가자들은 그간의 소회를 나누는 후속모임 겸 출판기념회를 갖고 책 속의 장소들을 함께 돌아봤다.

전남 구례군 매천도서관 ‘2021년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참가자들은 올해 구례읍의 노포와 생활명소를 탐방하고 글과 사진으로 기록해 &lt;오랜 이웃 오래된 가게&gt;라는 책을 펴냈다. 지난 6일 구례군 매천도서관에 모인 참가자들은 그간의 소회를 나누는 후속모임 겸 출판기념회를 갖고 책 속의 장소들을 함께 돌아봤다.
전남 구례군 매천도서관 ‘2021년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참가자들은 올해 구례읍의 노포와 생활명소를 탐방하고 글과 사진으로 기록해 <오랜 이웃 오래된 가게>라는 책을 펴냈다. 지난 6일 구례군 매천도서관에 모인 참가자들은 그간의 소회를 나누는 후속모임 겸 출판기념회를 갖고 책 속의 장소들을 함께 돌아봤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