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자신화-종교로서 유교 형성 과정〉
〈공자신화-종교로서 유교 형성 과정〉 공자는 학문적 성장 과정을 통해서 자신의 소명을 자각했다. 지은이는 공자가 하늘로부터 천명을 받았다고 생각했으며 그에 따라 왕의 역할을 수행했고, 유교는 실상 공자교라고 말한다. 공자는 교주이자 성왕이 되려 했고, 오경은 종교적 경전에 해당된다는 것. 아사노 유이치 지음·신정근 외 옮김/태학사·3만3000원.
〈새로 태어난 여성〉 1975년 출간 직후부터 페미니즘 이론가들의 열띤 논쟁거리가 된 책. 공동저자 엘렌 식수와 카트린 클레망은 여성의 사회적 억압의 원인과 형상에 대해서는 동일한 인식을 하고 있지만, 그것을 극복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견해차를 보인다. 클레망은 정치적 행동을, 식수는 상상력과 언어의 문제를 강조한다. 이봉지 옮김/나남·1만8000원.
〈미디어 생태학 사상〉 미디어 생태학이란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를 일종의 생태적 환경으로 주목했던 학자들의 지적 전통 혹은 시각을 가리킨다. 생태계의 구조와 특징, 또는 환경과 인간의 유기적 관계를 연구하는 생태학적 시각을 미디어 연구에 끌어들인다. 이 분야 대표적 사상가들의 이론을 살핀다. 케이시 맨 콩 럼 엮음·이동후 옮김/한나래·3만5000원.
〈여성 표현의 일본 근대사-‘여류 작가’의 탄생 전야〉 일본 근대의 국민화에서 배제된 여성들이 남성들이 주도한 표현의 세계에서 표현의 주체로서의 공간을 획득하기 위해 벌인 투쟁과 그 속에서 획득한 여성 표현의 가능성을, 일본 여성들이 근대 미디어를 통해 쏟아낸 말들을 고찰함으로써 드러낸 책. 하리타 유미 지음·임경화 옮김/소명출판·1만7000원.
〈제노사이드 속 폭력의 법칙〉 이 책은 폭력의 작동원리를 도출해 내야 폭력의 본질적 속성을 볼 수 있다는 판단 아래, 폭력의 개념에 대한 일반적 이해와 제노사이드에 관한 국제적 이론을 살핀 뒤, 구체적인 사례로 제주 4·3항쟁을 재고찰한다. 또 희생자의 상처 치유 방안으로 폭력의 문화에 대한 기독교 담론윤리를 소개한다. 김상기 지음/선인·2만8000원.

〈새로 태어난 여성〉

〈미디어 생태학 사상〉

〈여성 표현의 일본 근대사-‘여류 작가’의 탄생 전야〉

〈제노사이드 속 폭력의 법칙〉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