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현실을 냉소하며 새로운 웃음을 준 혁신적 코미디

등록 2019-11-20 08:18수정 2019-11-20 08:25

[한겨레-CJ 문화재단 공동기획]
(93)<투캅스>
감독 강우석(1993)
1980년대식 이념과 가치와 투쟁이 사라지고 이른바 ‘문민 정부’가 시작된 대한민국에서 &lt;투캅스&gt;는 삐딱한 시선으로 현실을 바라보며 은근슬쩍 냉소하면서 새로운 감각의 웃음으로 세상을 횡단하는 혁신적 코미디 영화였다.
1980년대식 이념과 가치와 투쟁이 사라지고 이른바 ‘문민 정부’가 시작된 대한민국에서 <투캅스>는 삐딱한 시선으로 현실을 바라보며 은근슬쩍 냉소하면서 새로운 감각의 웃음으로 세상을 횡단하는 혁신적 코미디 영화였다.

대중적 성공 때문에 역사적 의미가 희석되었지만, 강우석 감독이 1993년에 내놓은 <투캅스>는 한국의 코미디 장르를 이야기할 때 분기점이 되는 작품이다. 현재 우리가 보고 있는 코미디는 어쩌면 모두 이 영화에 빚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며, 강우석은 한국영화 최초로 ‘웃음’에 대해 진지하게 상업적 고려를 했던 감독이다.

물론 위대한 유산은 있었다. 1960년대 초 서민극은 한국영화의 희극 전통을 세우며 서민의 애환을 담아내고 세상을 풍자했다. 하지만 이후 한국의 코미디는 긴 세월 동안 ‘저질 시비’에 휘말렸고, 그 어두운 터널은 1980년대까지 이어진다. 이때 “웃다 죽어도 좋다”는 헤드 카피를 달고 등장한 <투캅스>는 모든 것을 새롭게 시작한다. 이 영화는 코미디의 장르적 쾌감과 현실감각을 탁월하게 결합시킨다. 80년대식 이념과 가치와 투쟁이 사라지고 이른바 ‘문민 정부’가 시작된 대한민국. 영화는 삐딱한 시선으로 현실을 바라보며 은근슬쩍 냉소하면서, 새로운 감각의 코미디로 세상을 횡단한다.

<투캅스>는 한국의 희극 전통에 찌꺼기처럼 남아 있던 이상한 감상주의를 흔적도 없이 걷어낸 혁신적 코미디였다. 배우의 개인기에 의존하던 억지스러운 설정은 폐기 처분되었고, 강우석 감독은 철저히 캐릭터와 상황으로 승부한다. 비리 경찰 조 형사(안성기)와 강직한 신참 강 형사(박중훈). 그들은 불법이 횡행하는 대한민국 서울의 강남 한복판에서 좌충우돌한다. 여기서 <투캅스>가 관객에게 주는 또 하나의 즐거움은 그 리듬이다. 말맛을 극대화시키며 두 형사가 핑퐁처럼 주고받는 대사나 재치 있는 개그 톤의 전개는, 분명 <투캅스> 전엔 없었고 이후 한국의 거의 모든 코미디 영화가 따르는 스타일이 되었다.

이 영화의 성공은 강우석 감독을 업계의 강자로 부상시켰고, 이후 한국영화 르네상스 시기에 그는 제작과 배급과 극장을 동시에 거느린 거물이 되었다. 신필름 시절 신상옥 감독에 버금가는 파워였고, 그 단초엔 바로 <투캅스>라는 ‘재밌는 영화’가 있었다.

김형석/영화평론가

※한겨레·CJ문화재단 공동기획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스승 잘 만난 제자, 제자 덕 보는 스승…손민수·임윤찬 7월 한무대 1.

스승 잘 만난 제자, 제자 덕 보는 스승…손민수·임윤찬 7월 한무대

‘시그널’ 10년 만에 돌아온다…내년 시즌2 방송 2.

‘시그널’ 10년 만에 돌아온다…내년 시즌2 방송

63살 데미 무어의 세월을 질투하다 3.

63살 데미 무어의 세월을 질투하다

괴물이 되어서야 묻는다, 지금 내 모습을 사랑해 줄 수는 없냐고 4.

괴물이 되어서야 묻는다, 지금 내 모습을 사랑해 줄 수는 없냐고

“중증외상센터, 원작 소설 초월…주지훈 배우는 말 그대로 만찢남” 5.

“중증외상센터, 원작 소설 초월…주지훈 배우는 말 그대로 만찢남”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