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 일자리’ 현대차 노사 반응
잠정합의 투자·노동조건 관심 집중
잠정합의 투자·노동조건 관심 집중
‘광주형 일자리’ 모형인 완성차 공장 설립을 위한 광주시와 현대자동차 사이 투자 협상이 사실상 타결된 가운데, 현대차는 막판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말을 아끼는 분위기를 보인 반면, 노조는 긴급성명서를 내며 강력히 반발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4일 “현재로서는 할 수 있는 얘기가 없다”고 말했다. 현대차 쪽은 아직 최종 협상 타결이 이뤄지지 않은 터라 극히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였다.
현대차 노조(금속노조 현대차지부)는 이날 오후 하부영 지부장 명의의 긴급성명서를 내어 ‘총파업 강행’을 예고했다. 하 지부장은 “광주형 일자리는 과잉중복투자로 함께 망하는 길로 가는 것”이며 “망국적인 지역감정의 부활”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문재인 정권은 현대차 재벌의 약점을 잡아 기어이 굴복시켜 도장을 찍게 만들고 있다”며 “박근혜보다 더 나쁜 일자리를 만들기”라고 규정했다. 노조는 광주형 일자리 관련 사용자 쪽 체결 당사자 등을 업무상 배임 등으로 고소하는 방안 등 법적 대응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자동차업계와 노동계에서는 광주시와 현대차가 잠정합의한 투자·사업 조건과 노동조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알려진 대로 주 노동시간 44시간, 초임 평균임금 3500만원에 양쪽이 잠정 합의를 끝낸다면, 현대차는 소기의 성과를 얻은 것으로 평가된다.
한편, 노동계에서는 해당 조건이 광주형 일자리 4대 원칙 중 2가지인 ‘적정 노동시간’ ‘적정 임금’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목소리가 커질 수 있다. 하루 8시간 주 5일 노동을 기준으로 4시간의 추가 노동을 반드시 포함하는 주 44시간은 현대차가 강하게 요구해온 조건이었다. 이 밖에, 4대 원칙 가운데 나머지 2가지인 노사책임경영과 원하청 관계 개선을 뒷받침할 어떤 구체적인 제도를 설계했는지도 관건이다. 앞서 광주시가 노사책임경영을 제시하면서도 ‘임금·단체협약 협상 5년간 유예’ 조항을 현대차에 제시한 적이 있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노동법 위반 일자리’ 논란이 불거진 바 있다. 노사책임경영의 한 방안인 노동자 이사제 도입에 대해서는 현대차 쪽이 부정적이었다.
최하얀 정대하 기자 ch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