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각) 백악관에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워싱턴/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직후 제임스 코미 당시 연방수사국(FBI) 국장에게 자신의 최측근인 마이클 플린 전 국가안보보좌관에 대한 ‘러시아 내통 의혹’ 수사 중단을 요구했다고 미 언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이 보도가 사실이라면, 트럼프 대통령이 독립적인 수사기관에 외압을 행사한 명백한 증거여서 탄핵 근거로 작용할 수 있다.
<뉴욕 타임스>(NYT)는 16일(현지시각) 코미 전 국장의 최측근들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월14일 백악관에서 코미 전 국장을 만나 “당신이 이 사건을 봐줬으면 좋겠다. 플린을 봐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날은 플린 전 보좌관이 러시아 내통 의혹으로 해임되고 바로 이튿날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플린은 좋은 사람이다. 아무 잘못을 하지 않았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코미 전 국장은 “플린이 좋은 사람이라는 것에 동의한다”고 말하는 것으로 어색한 상황을 모면했다.
코미 전 국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수사에 대한 압력으로 여겨 메모를 남겼으며, 연방수사국 고위 간부 및 측근들에게 알렸다. 이들 중 직접 메모를 본 이들이 <뉴욕 타임스> 기자에게 이를 읽어주면서 내용이 공개됐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코미 전 국장에게 언론을 “미국 국민의 적”으로 묘사하며 러시아 내통 의혹을 보도하는 기자들을 구속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도 말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방수사국 요원들의 메모는 법적 증거로 인정되는 게 관례인데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노골적 수사 개입으로 비칠 수 있어 ‘코미 메모’가 상당한 폭발력을 낼 수 있다고 미 언론들은 전했다.
<뉴욕 타임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그의 측근들과 러시아 간 내통 의혹을 수사하는 법무부와 연방수사국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다는 결정적인 증거가 발견됐다”고 했다. <시엔엔>(CNN)의 법률분석가인 제프리 투빈도 “수사를 종결하라는 것은 사실상 수사를 중단하라는 지시”라며 “코미의 말이 진실이라면 명백한 사법방해죄”라고 말했다.
백악관은 긴급 성명을 내어 “대통령은 플린이 미국에 봉사한 훌륭한 인물이라고 반복적으로 표현했지만, 코미 국장이나 다른 누구에게 어떠한 수사도 끝내라고 요구한 적이 없다”고 강하게 반박했다.
하지만 ‘코미 게이트’는 한쪽이 항복하지 않으면 경기가 끝나지 않는 ‘치킨게임’ 양상으로 진화하고 있어 파장이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코미 전 국장을 불명예스럽게 경질한데다, 코미 전 국장이 자리를 보전하게 해달라고 요청하는 내용의 녹음테이프가 있는 것처럼 트럼프 대통령이 트위트를 올린 것에 대해 코미 전 국장이 반격하는 모양새를 띠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코미 전 국장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모든 전화통화와 회동에 대해 상당히 많은 메모를 남긴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는 비밀로 분류돼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대응에 따라 추가 공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트럼프 대통령이 왜 무리하게 플린 전 보좌관을 비호하려 했는지에 대한 의혹도 계속 불거질 수밖에 없다. 러시아가 해킹을 통해 미국 대선에 개입한 것과 플린이 연결돼 있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알고 있었던 것 아니냐는 시나리오가 미 언론에 등장하고 있다.
여당인 공화당 쪽에서도 트럼프 대통령과 거리를 두려는 움직임이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제이슨 체이피츠 하원 정부감독위원회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과 코미 전 국장 간에 이뤄진 모든 대화의 메모와 녹음 기록을 24일까지 제출하라고 연방수사국에 요구했다. 공화당 1인자인 폴 라이언 하원의장도 적극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을 옹호하지 않고 있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